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고삼투압 약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고삼투압 약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고삼투압 약제 (hyperosmotic agent)'''{{녹내장}} 는 경구 또는 정맥 내로 투여하여 단기간 내에 안압 상승을 치료하는 약제로, 탄산툴수효소 억제제와는 달리 대체로 급성 폐쇄각 녹내장이나 위험할 정도로 안압이 높은 이차 녹내장과 같은 응급한 상황에서 단기간 동안만 사용된다. 또 한 가지 용도는 일부 안내 수술 전에 안압을 강하시킬 목적으로 유리체 용적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이 범주에 속하는 약제들의 작용 기전과 부작용은 일부 뚜렷한 경우를 제외하면 유사하다. == 병태 생리 == * 유리체 용적 감소 : 안압 하강은 유리체 용적 감소 때문이다. 기전은 혈액과 안조직 사이의 삼투압차인 것으로 생각된다. * 시상하부-신경설 : 시상하부 내의 삼투수용체가 시신경 내에 있는 원심성 섬유를 통하여 방수 생산을 변화시킨다는 설이 있다. * 섬모체 상피의 변화 : 전방 내에 주사하면 혈액-방수 장벽을 파괴시키고, 비색소성 삼모체 상피세포의 파괴도 일어난다. 그러나 정맥 주사를 한 경우에는 같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한다. == 분류 == * 경구용 : [[글리세롤]], [[아이소소비드]], glycerine, sodium lactate, propylene glycerol, ethyl alcohol * 정맥 주사용 : [[만니톨]] == 부작용 및 합병증 == * 오심과 구토 : 특히 경구 투여하는 액체성의 약제에서 자주 보는 부작용인데 지나친 단맛 때문일 것이다. 이 증상은 일시적이고 후유증을 남기지 않으나 수술 중에 발생하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오심은 얼음이나 새큼한 맛을 첨가하여 투약하면 줄일 수 있다. * 이뇨 작용 : 고삼투압제 치료로 인한 기본적인 반응이며 정맥 내로 투여할 때 특히 문제가 된다. 일부 예에서는 수술 중에 대량의 이뇨 효과 때문에 요도관을 사용해야 한다. 모든 고삼투압제 투여로 기타 여러가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나 정맥 주사용 약제로 더 심한 기타 부작용으로는 두통, 요통, 어지러움, 설사, 혼란, 혼미, 오한, 발열, 심혈관 과부하, 뇌출혈, 폐부종, 산증 및 신부전 등이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고삼투압 약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고삼투압 약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