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눈물샘 소관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눈물샘 소관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눈물샘 소관염 (lacrimal gland ductulitis)'''{{성형안과}} 은 눈물샘 소관의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염증성 질환이다. == 역학 == 흔하지 않다. == 원인 == * ''Actinomyces'' 감염 * 매복된 눈썹 : 유황 과립 (sulfur granule) 안에서 속눈썹이 종종 발견되는 것이 특징적인데, 빠지거나 잘못 자란 속눈썹이 눈물샘 소관 안으로 들어가 질환을 유발하였을 것으로 여겨진다. == 증상 == 눈물샘과 눈물샘소관의 부종을 보이나, 주로 가쪽 눈구석에서 관찰되는 동통이 있는 염증성 종괴와 안구결막 충혈, 점액고름 분비물 등의 증상으로 내원한다. 염증으로 확장된 눈물샘 소관에 는 대개 유황 과립, 육아 조직 등이 차 있다. == 조직 병리 == 입방 세포들로 이루어진 상피층과 주변 조직의 염증 세포 침윤이 보인다. == 검사 및 진단 == * CT : 눈물샘 부위의 낭종과 주변 조직의 부종 및 조영 증상 소견이 관찰된다. == 감별 진단 == * [[눈물샘 소관 낭포]] : 눈물샘소관 주위의 염증이나 외상, 눈물샘소관의 IgA 과분비, 눈물샘소관의 신경-근 수축력 저하, 벽의 약화 등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결막염이나 다래끼 등으로 오진되어 치료가 잘 되지 않고 늦어지는 경우가 많이 있으므로, 이측 눈구석을 자세히 살펴 눈물샘길 질환이 아닌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 수술적 치료 == * 이환된 [[눈물샘 소관]]의 절제 : 국소 마취를 통한 비교적 간단한 수술로 완치될 수 있다. * [[눈물샘 소관]]의 절개 및 소파술 혹은 조대술 : 덜 침습적으로, 좋은 결과를 얻었다는 보고가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성형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눈물샘 소관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눈물샘 소관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