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대광-근접 반사 해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대광-근접 반사 해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정상 동공은 빛에 대해 축소될 뿐만 아니라 근접 자극에도 축소되는 반응을 보인다. 따라서 대광 반사가 약해진 환자에서는 근접 반사에 대해서도 반드시 검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만약 근접 자극에 대한 동공 반응이 대광 반사보다 강하다면 이를 '''대광-근접 반사 해리 (light-near dissociation)'''{{신경안과}} 라고 부른다. == 원인 == 동공의 구심성, 원심성 장애 모두에서 발생 가능하다. 원심성 장애인 [[아르길 로버트슨 동공]]의 주요 증상이며, 주로 신경 매독에서 보인다. 이외에도 슬상체앞 실명 (pregeniculate blindness), 압박성 혹은 침윤성 중뇌 병변, 동공의 부교감신경 손상 등에서도 발생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대광-근접 반사 해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대광-근접 반사 해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