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모야모야병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모야모야병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모야모야병 (Moyamoya disease)''' 은 뇌혈관동맥조영상 특별한 이유 없이 두개내 내경동맥의 끝부분이나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 시작 부분에서 협착이나 폐색이 보이고 그 부근에 모야모야 혈관이라 불리는 작은 이상 혈관이 관찰되는 질환이다<ref name=r1>Taşkintuna I et al. Morning glory syndrome : a/w moyamoya disease, midline cranial defects, CNS anomalies, and persistent hyaloid artery remnant. ''Retina''. 2003 Jun;23(3):400-2. [https://pubmed.ncbi.nlm.nih.gov/12824843/ 연결]</ref>. == 역학 == 우리나라와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국가에서 호발한다<ref name=r1 />. == 유전 == 유전자 분석검사상 RNF213 유전자의 R4810K mutation이 우리나라와 일본의 모야모야병 환자의 70%에서 발견되었다<ref name=r1 />. == 원인 == 대개 특발성으로 나타나지만 두개 내 방사선 조사 또는 두개 내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1 />. 모야모야 혈관은 신경섬유종증이나 결절경화증, 겸상적혈구빈혈증, 다운 증후군, 뇌동맥류, 동정맥기형과 같은 선천성 질환에서 동반될 수 있다<ref name=r1 />. == 임상 소견 == 일과성 허혈 발작이 흔하며 수분 내에 호전되지 않으면 뇌졸중으로 진행할 수 있다. 모야모야병은 성인에서 지주막하 출혈을 일으킬 수 있다. 2015년 Kuroda<ref>Kuroda S; AMORE Study Group. Asymptomatic moyamoya disease : literature review and ongoing AMORE study. ''Neurol Med Chir (Tokyo)''. 2015;55(3):194-8. [https://pubmed.ncbi.nlm.nih.gov/25739434/ 연결]</ref>은 증상이 없는 모야모야병에서 일과성 허혈 발작이 일어나는 연간 위험률을 5.7%, 뇌졸중이 일어나는 연간 위험률을 3.2%로 보고하였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증상이 없는 모야모야병 환자에서 뇌졸중이 발생할 연간 위험률은 1.4%로 보고되고 있다<ref>Kuroda S et al; AMORE Study Group. 5y Stroke Risk and Its Predictors in Asymptomatic Moyamoya Disease : Asymptomatic Moyamoya Registry (AMORE). ''Stroke''. 2023 Jun;54(6):1494-1504. [https://pubmed.ncbi.nlm.nih.gov/37216455/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모야모야병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모야모야병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