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수막 자극 징후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수막 자극 징후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수막 자극 징후 (meningeal irritation sign)</b> 는 수막염이나 거미막밑 출혈 같은 질환에서 수막이 자극되어 생기는 증상이다. == 종류 == * 경부 경직 검사 (nuchal rigidity test) : 환자가 목에 힘을 뺀 상태에서 검사자가 한 손을 환자의 머리 밑에 넣어 턱이 가슴에 닿을 정도로 고개를 최대한 굽히는 검사이다. 이 때 통증을 동반한 목근육 경직이 있는지, 굽힘 운동에 제한이 있는지 관찰한다. * 커니그 (Kernig) 징후 : 누워있는 환자의 한쪽 다리의 무릎과 고관절을 동시에 구부리면서 들어올린 후 고관절을 굽힌 상태에서 슬관절을 편다. 이로 인해 통증이 발생하거나 저항이 나타나는지, 무릎이 완전히 펴지지 않는지 확인한다. * 브루진스키 (Brudzinski) 징후 : 환자를 무릎을 곧게 편 상태로 눕힌 후에 검사자의 한 손으로 환자의 가슴을 가볍게 누르면서 다른 손을 머리 밑에 넣어 목을 굽힌다. 이로 인해 양쪽 다리의 고관절이나 슬관절이 굽혀지는 징후가 나타나는지 확인한다. {{참고|신경안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수막 자극 징후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수막 자극 징후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