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외경계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외경계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외경계막 (external limiting membrane; ELM)'''{{망막}} 은 실제 막이 아니고 <span style='color:blue;'>뮬러세포 사이 또는 뮬러세포와 시세포 사이를 연결하는 여러 소대들로 이루어진 좁은 지역</span>이다. 시세포 내절은 그 기부 부근에서 망막의 교세포인 [[뮬러 세포]]에 둘러싸여 있다. 이 양세포가 접촉하는 부분에서 보이는 결합 장치의 연속적인 배열이 외경계막이다. 이 결합 장치는 접합대만으로 구성되어 견고하지는 않다. 따라서 유리체강 내로 주입한 peroxidase는 쉽게 이 결합 장치를 통과한다. [[뮬러 세포]]는 외경계막으로부터 바깥쪽으로 약 3㎛의 돌기를 내는데 이를 슐츠 섬유(Schultze fiber)라고 한다. 광학 현미경을 통해 살펴보면, 천공막 (fenestrated sheet) 과 같은 구조를 띠고 이 천공 사이사이로 시세포가 지나가는 모양을 하고 있다. == 역할 == 일부 분자량이 큰 물질의 이동을 억제하는 대사 장벽의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된다. {{참고}} {{망막의_층}}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망막의 층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외경계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외경계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