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유리체 절제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유리체 절제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유리체 절제술 (vitrectomy)</b> == 역사 == 1863년 von Graefe에 의하여 유리체막이 성공적으로 제거됨으로써 시작되었다. 1960년대 Kasner는 심한 천공성을 받은 눈이나 백내장 수술 후 유리체 탈출이 많았던 눈에서 각막 윤부 절개창을 통하여 유리체를 제거함으로써 (open-sky vitrectomy) 유리체 절제술을 시행하지 않았던 종래의 방법과 비교하여 합병증을 현격하게 줄일 수 있음과 유리체의 많은 부분을 제거한다 하더라도 눈에는 지장을 주지 않음을 입증하였다. 그러나 open-sky 술기는 수정체를 반드시 제거하여야 했고 각막 윤부에 큰 절개창을 만들어야만 가능하였으며 유리체 절제술 도중에 홍채를 지속적으로 관류함으로써 수술 후 홍채가 절개창에 유착되고 많은 염증이 유발되었다.{{br}}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기 위해 Machemer는 1970년 폐쇄 유리체 절제술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그는 17G (gauge) VISC (vitrectomy infusion suction cutter) 를 개발하여 계란 노른자를 흩뜨리지 않고 흰자만 제거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폐쇄 유리체 절제술의 가능성을 확인하여 섬모체 평면부를 통한 현대적인 의미의 폐쇄 유리체 절제술의 개념을 확립하는 데 이바지 하였다. 1974년 O'Malley가 20G 3포트와 관류 시스템을 개발하여 소개하면서 지난 25년 동안 20G 이 널리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1990년에 de Juan이 25G 시스템을, 그리고 1991년 Eckardt가 23G 시스템을 소개하면서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최소절개 무봉합 유리체 절제술 (microincisional sutureless vitrectomy) 의 시대가 대두되었고,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27G 등의 더욱 작은 시스템과 함께, high-speed cutter의 발달, 광각 시스템의 확대, endoillumination의 다양화 등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이 제시되고 있다. {{참고|망막}}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Br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유리체 절제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유리체 절제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