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잔상 검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잔상 검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잔상 검사 (after-image test)</b> 는 두 눈에 망막 중심 오목에 자극을 주되, 동시에 주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항상 수직의 빛을 사시눈 또는 비우세눈에 보여줘야 하는데, 억제는 수평보다 수직 방향이 덜 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억제가 일어날 수 있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는 비우세눈의 자극을 나중에 주는 것도 중요하다. 두 눈에서의 잔상의 위치 관계를 보아서 망막 대응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고 타각적 각도와 관계 없이 자각적인 두 눈의 관계를 알 수 있다. == 검사 방법 == # 암실에서 환자를 잔상 검사기 (대약시경 또는 전광 잔상 장치) 와 적당한 거리를 두고 앉힌다. # 사시인 눈을 가리고 주시 눈에 잔상기 전등 (약 13cm 길이) 을 수평 방향으로 보여준다. # 사시인 눈에도 전등을 수직 방향으로 하여 동일 방법으로 노출시킨다. # 암실이나 검은 벽을 보게 하거나 혹은 눈을 감게 하여 가운데가 끊어진 수평 및 수직선이 두 눈에 밝게 나타나는 양성 (positive) 잔상을 볼 수 있으며, 밝은 방에서나 눈을 뜬 상태에서는 어두운 선인 음성 (negative) 잔상을 볼 수 있다. 수평 및 수직선의 상호 위치 관계를 답하게 한다. == 참고 == 안과 검사 제 3판, 도서출판 내외학술
잔상 검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잔상 검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