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아랫 눈꺼풀의 직접 봉합 (direct closure) 은 눈꺼풀 재건술 중 가장 많이 이용되는 수술법으로, 결손 부위 가장자리를 직접 봉합하는 방법이다. == 적응증 == * 결손 부위가 크지 않을 때, 그리고 특히 결손이 눈꺼풀의 중앙 부위에 있을 때 * 주로 <span style='color:blue;'>25% 이하의 결손</span>이 있는 경우 (<span style='color:blue;'>눈꺼풀 이완이 심한 노인 환자의 경우 50% 이내의 결손</span>에서도 재건이 가능하다.) == 과정 또는 용법 == # 국소 마취제 주사 : 눈에 점안 마취제를 점안한 다음 epinephrine이 희석된 lidocaine을 눈꺼풀 결손부 주위의 피하에 주사한다. # 눈꺼풀 가장자리의 정렬 : 유구 집게로 결손 부위의 양끝을 잡고 서로 맞닿도록 잡아당겨 본다. 이 방법은 직접 봉합법으로 재건이 가능한지를 알아보는 가장 좋은 방법이다.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먼저 6-0 흑견사 또는 vicryl을 이용하여 눈꺼풀판의 마이봄샘 구멍을 통과하는 봉합을 시행하되 봉합사는 서로 묶지 말고 길게 늘어뜨려 놓는다. # 눈꺼풀판의 봉합 : 눈꺼풀 가장자리에 만든 봉합사를 잡아당긴 상태에서, 6-0 vicryl을 이용하여 결손 부위의 양끝에 있는 눈꺼풀판끼리 2~3개의 단속 봉합을 시행한다. # 눈꺼풀 가장자리의 봉합 : 처음에 시행한 마이봄샘 구멍을 통과하는 봉합사를 서로 묶어준 다음, 6-0 흑견사를 이용하여 회색선을 봉합한다. 속눈썹줄을 잘 맞추기 위하여 속눈썹줄에 봉합을 추가로 시행하여도 된다. 이 때 결손부의 눈꺼풀 가장자리끼리 만난 창상 부위가 약간 솟아오르도록 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 피부 봉합 : 단순 단속 봉합으로 피부를 봉합한다. 피부의 봉합을 위하여 서로 잡아당겨 보았을 때 긴장이 발생하면 피부를 봉합하기 전에 7-0나 6-0 vicryl을 이용하여 눈둘레근끼리 서로 봉합해준다. 눈꺼풀 가장자리쪽의 피부를 봉합하였을 때 개 귀모양 변형이 생기면 가위를 이용하여 뺨의 주름선을 따라 피부 절개선을 연장하고, 절개선의 바깥쪽 피부를 절개선 안쪽의 피부 위로 덮은 다음 겹쳐지는 피부를 잘라낸다. # 가쪽 눈구석 절개술 및 눈구석 인대 절단술 : 결손 부위의 양끝을 당겨 서로 맞닿게 하였을 때 힘이 많이 필요하거나 조직이 부족한 경우 눈꺼풀 결손부의 눈꺼풀 가장자리와 눈꺼풀판을 봉합하기 전에 가쪽 눈구석 절개술 및 눈구석 인대 절단술을 시행한다. 가위를 이용하여 가쪽 눈구석에서 수평 방향으로 절개한 다음 가쪽 안와 가장자리의 아래 다리를 골막 부착 부위에서 절단한 다음 결손 부위를 직접 봉합법으로 재건하고 가쪽 눈구석을 봉합한다.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직접 봉합 (아랫눈꺼풀)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