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표층 각막 절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표층 각막 절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표층 각막 절제 (superficial keratectomy)</b> 는 보통 수술 현미경 하에서 시행되는 보다 적극적인 치료 방법이다. == 적응증 == 외상 병력이 없으며 바닥막 이상증이 여러 부위에서 발생하거나 심하여 시력 저하가 크고 광범위한 상피 유착 이상이 있는 경우 좋은 적응증이 될 수 있다. 비정상적인 상피로 인한 국소 굴절 이상으로 시력이 떨어진 경우에도 효과적인 치료가 될 수 있음이 보고된 바 있다. == 수술 과정 == 부분 마취 하에 칼날(steel, jewel blade)을 사용하여 윤부 근처 약 1mm 정도를 제외한 상피를 되도록 바닥막을 포함한 연속된 하나의 판 형태로 제거한다. 보우만층을 제거하면 반흔이 남기 때문에 주의해야 하며, 상피 유착을 돕기 위해 칼날 방향을 보우만층에 수직으로 하여 긁어줄 필요가 있다. 칼날 대신 다이아몬드 연마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수술 전 bromfenac, ketorolac tromethamine, diclofenac 등의 NSAID를 수회 점안하고 수술 후 3~5일 동안 안대 콘택트렌즈 착용과 함께 상기 약물을 하루 2~3회 점안하면 통증 경감에 도움이 된다. 최근 알코올을 이용한 상피 제거의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표층 각막 절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표층 각막 절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