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동작맹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동작맹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동작맹 (akinetopsia)'''{{신경안과}} 은 제5 시각피질 영역이 손상되어 움직임을 감지하기 어려워 연속 동작을 감지하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 움직임의 감지 == 시각에서 움직임을 감지하는 기능은 여러 가지 역할을 한다. 정적인 시각 환경에서 움직이는 물체를 감지하도록 하고, 원활 추종 운동에 관여하며, 신속 운동을 정확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손을 목표물에 뻗는 운동을 할 수 있게 한다. 영장류에서 움직임에 대한 감지는 중간 측두 영역 (middle temporal area) 으로 알려진 제5 시각피질 영역 (V5) 에서 이루어지며, 사람에서는 배바깥쪽 (ventrolateral) 후두 이랑이 이에 해당한다고 알려져 있다<ref>Beckers G et al. Cerebral visual motion blindness : transitory akinetopsia induced by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of human area V5. ''Proc Biol Sci''. 1992 Aug 22;249(1325):173-8. [https://pubmed.ncbi.nlm.nih.gov/1360678/ 연결]</ref>. == 임상 소견 == 예를 들어, 컵에 물을 따르면 수면이 연속적으로 상승하지 않고 얼음이 점프해서 올라오는 것처럼 보인다. 편측 병변에서도 동작맹이 보고된 적이 있으나 대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동작맹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동작맹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