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디쿠아포솔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디쿠아포솔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디쿠아포솔 (diquafosol, dqs)'''{{각막}}<ref>Keating GM.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3% : a review of its use in dry eye. Drugs. 2015;75(8):911‐922</ref> 은 천연 뉴클레오티드 uridine 50-triphosphate (UTP) 의 안정적인 합성 유도체이고, 강력한 퓨린성 P2Y2 수용체 길항제이다<ref>Yokoi N et al. Facilitation of tear fluid secretion by 3%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in normal human eyes. ''AJO''. 2014 Jan;157(1):85-92.e1. [https://pubmed.ncbi.nlm.nih.gov/24200231/ 연결]</ref>. P2Y2 수용체는 결막 술잔 세포를 포함하여 눈꺼풀, 안구 결막 상피, 각막 상피와 마이봄샘 같은 많은 눈 구조에서 관찰되며, 눈물 및 점액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 기전 == 결막 상피세포와 결막 술잔세포의 소포체 (endoplasmic reticulum) 로부터 칼슘 분비를 증가시킴으로써 눈물과 뮤신 분비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ref>Nakamura M et al.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for dry eye treatment. ''Adv Ther''. 2012 Jul;29(7):579-89. [https://pubmed.ncbi.nlm.nih.gov/22843206/ 연결]</ref>. 특히 술잔세포에서 분비형 뮤신인 MUC5AC의 분비를 자극하고<ref> Takaoka-Shichijo Y et al. Effect of diquafosol tetrasodium on MUC5AC secretion by rabbit conjunctival tissues. ''J Eye'' 2011;28:261-5</ref>, 각막 상피세포에서 안구표면 당질층 (glycocalyx) 의 주된 성분인 MUC1, MUC4 및 MUC16 등의 막결합 뮤신의 발현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었다<ref>Takaoka-Shichijo Y et al. Stimulatory effect of diquafosol tetrasodium on the expression of membrane-binding mucin genes in cultured human corneal epithelial cells. ''J Eye'' 2011;28:425-9.</ref>. ADDE 건성안을 대상으로 한 다수의 임상연구에서 디쿠아포솔나트륨 점안 후 건성안 증상, 눈물막과 안구표면 인자 등의 객관적 징후의 호전을 발표하였으며<ref>Matsumoto Y et al;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P2 Study Group. Efficacy and safety of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in patients w DES : a Japanese P2 clinical trial. ''Ophthalmology''. 2012 Oct;119(10):1954-60. [https://pubmed.ncbi.nlm.nih.gov/22739038/ 연결]</ref><ref>Tauber J et al. Double-masked, placebo-controlled safety and efficacy trial of diquafosol tetrasodium (INS365) ophthalmic solution for the treatment of dry eye. ''Cornea''. 2004 Nov;23(8):784-92. [https://pubmed.ncbi.nlm.nih.gov/15502479/ 연결]</ref><ref>Kamiya K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the additive effect of diquafosol tetrasodium on sodium hyaluronate monotherapy in patients w DES : a prospective, randomized, multicenter study. ''Eye (Lond)''. 2012 Oct;26(10):1363-8. [https://pubmed.ncbi.nlm.nih.gov/22878452/ 연결]</ref><ref>Takamura E et al;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P3 Study Group. A randomised, double-masked comparison study of diquafosol vs sodium hyaluronate ophthalmic solutions in dry eye patients. ''BJO''. 2012 Oct;96(10):1310-5. [https://pubmed.ncbi.nlm.nih.gov/22914501/ 연결]</ref>, 특히 Koh 등<ref>Koh S et al. LT results of treatment w diquafosol ophthalmic solution for ADDE. ''Jpn J Ophthalmol''. 2013 Sep;57(5):440-6. [https://pubmed.ncbi.nlm.nih.gov/23740285/ 연결]</ref>은 디쿠아포솔 나트륨을 6개월 동안 장기간 점안하였을 때 심각한 부작용 없이 건성안의 증상, 각결막상피 손상 및 [[눈물막 파괴 시간]]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결막 상피세포로부터의 눈물 분비와 결막 술잔 세포에서의 점액 분비를 촉진시킨다<ref>Fujihara T et al. INS365 suppresses loss of corneal epithelial integrity by secretion of mucin-like glycoprotein in a rabbit short-term dry eye model. ''J Ocul Pharmacol Ther''. 2002 Aug;18(4):363-70. [https://pubmed.ncbi.nlm.nih.gov/12222766/ 연결]</ref>. 따라서, 디쿠아포솔은 눈물샘에서의 눈물 분비와 무관하게 눈물막의 안정화 및 눈 표면의 수화를 촉진시키고, 각결막상피 장애를 개선시킬 수 있는 약제이다<ref>Fujihara T et al. Improvement of corneal barrier function by the P2Y(2) agonist INS365 in a rat dry eye model. ''IOVS''. 2001 Jan;42(1):96-100. [https://pubmed.ncbi.nlm.nih.gov/11133853/ 연결]</ref>. == 종류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디쿠아포솔의 병 제제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디쿠아론 |rowspan="10"|diquafosol 4Na 30mg/ml |5 ml||삼천당||2,570원/병 |- |디쿠아솔||5, 10 ml||한림||2,570원, 3,866원/병 |- style="color:red;" |디쿠아스 3%||5 ml||한국 산텐||2,570원/병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3px;" |+표. 디쿠아포솔의 일회용 제제 |- !제품명||성분, 함량||용량||제조사||약가 |- |디알큐 |rowspan="20"|diquafosol 4Na 30mg/ml |0.3, 0.4, 0.45, 0.5 ml||일동||432원/관 |- |디어큐어||0.4, 0.45, 0.5 ml||유니메드||508원/관 |- |디쿠솔||0.4 ml||대화||508원/관 |- |디쿠스||0.3, 0.35, 0.4, 0.45, 0.5 ml||대우||508원/관 |- |디쿠아론 (1회용)||0.3, 0.4, 0.45, 0.5 ml||대우||508, 481, 508, 508원/관 |- |디쿠아벨||0.4 ml||종근당||481원/관 |- |디쿠아솔 (1회용)||0.4 ml||한림||508원/관 |- |디쿠아스 에스||0.4, 0.5, 0.9 ml||종근당||481, 508, 508원/관 |- |디쿠아엠||0.4 ml||마더스||508원/관 |- |디쿠아이||0.3, 0.4, 0.45, 0.5 ml||국제 약품||508, 481, 508, 508원/관 |- |디쿠아폴||0.5 ml||한미 약품||508관 |- |디쿠아프리||0.3, 0.4, 0.45, 0.5 ml||DHP 코리아||508, 481, 508, 508원/관 |} == 용법 == 디쿠아포솔 3% 용액은 일본과 한국에서 안구 건조증 치료에 승인되었다. 일본에서는, 디쿠아포솔 3% 용액을 안구 건조증과 눈물 이상과 관련된 각결막 상피 질환에 사용할 수 있다. 권장 치료 요법은 매일 6회, 한 방울씩 점안하는 것이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디쿠아포솔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디쿠아포솔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