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Bielschowsky head tilt test; BHTT)</b> 는 Hoffman과 Bielschowsky에 의하여 제안되었으며 회선 수직 마비가 있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 병태 생리 == 이들은 회선 운동에서 내회선시 상사근과 상직근이, 외회선시 하사근과 하직근이 동시에 작용한다는 것에 주목하였다. 예를 들면, 오른눈 상사근 마비에서 고개를 오른쪽으로 기울이면 왼눈은 외회선을 하게 되어 하사근과 하직근이 동시에 작용하고, 오른눈은 내회선을 하게 되어 상사근과 상직근이 작용을 하게 된다. 이 때 오른눈 상사근이 마비되어 상직근의 상전과 내전 작용에 대하여 대응을 못하게 되므로 오른눈이 더 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 적응증 == 상사근 마비가 있으면서 습관적으로 마비안으로 주시하는 환자에서 억제 마비로 반대눈 상직근 마비인 것처럼 보이는 경우, 실제로 반대눈 상직근 마비가 있는 환자와의 감별에 특별히 유용하다. == 과정 또는 용법 == 상사근 마비에서 제일 눈위치에서 마비안이 상사시이고 마비안 쪽으로 머리를 기울이면 상사시가 더욱 심해지는데, 이런 경우를 양성이라고 한다. 사근 마비에 비해 수직근 마비에서는 머리 기울임으로 나타나는 두 눈간의 수직차가 작으며 그 이유는 대항 없는 사근의 수직 작용이 대항 없는 직근의 수직 작용보다 훨씬 덜하기 때문이다.
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빌쇼스키 머리 기울임 검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