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사진 굴절 검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사진 굴절 검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사진 굴절 검사 (photorefraction; PR)</b> 은 광원을 장착한 사진기를 이용하는 방법인데 사진기의 렌즈보다 약간 아래쪽에 광원을 부착해서 환자의 얼굴을 촬영하면 안저 반사로 인해 환자의 동공이 붉게 나온다. 각막 및 안저로부터 나오는 반사광을 사진기로 찍어 굴절 이상과 사시 유무를 측정할 수 있다. == 적응증 == * 협조를 잘 하지 않거나 주시를 잘 하지 못하여 자각적 굴절 검사가 불가능한 환자 * [[자동 굴절 검사]]으로 검사가 곤란한 유소아 (특히 유아 및 소아의 집단 검진) == 검사 방법 == # 폴라로이드 흑백 필름을 사용하며 렌즈 입구와 광원 사이에 1.2mm의 이심률을 가지고 1m 의 검사 거리에서 촬영한다. # 이 때 검사자는 환자의 이마를 중심으로 동공 중심에서 *25 inch 상방에 × 표시를 정확하게 맺도록 하여 촬영한다. # 환자의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하여 사진기에 붉은 주시광과 음향 발생 장치가 사용되며 난시의 측정을 위하여 광원은 수직과 수평축으로 90˚ 회전하여 두 방향에서 촬영하여 한 장의 필름에 인화된다. == 판정 == 폴라로이드 사진에는 두 가지의 사진이 나오게 되며 위쪽에는 수직축의 사진이 아래에는 수평축의 사진이 찍힌다. 이 때 환자가 정시안이라면 안저 반사가 전체적으로 비슷한 밝기로 보이는데 반해 정시안이 아니라면 안저 반사의 주변부에 보다 밝은 색의 반달 모양이 관찰된다. 만약 근시안이라면 위쪽 사진에서는 위쪽에, 아래쪽 사진에서는 아래족에 나타나며 원시안에서는 그 반대가 된다. 광원을 사진기의 위쪽에 장착했다면 이와 반대 위치에 반달 모양 반사가 관찰된다.
사진 굴절 검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사진 굴절 검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