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처진 눈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처진 눈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처진 눈 증후군 (sagging eye syndrome; SES)</b> 은 2009년 Rutar와 Demer에 의해 처음 기술된 질환으로,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작은 각도의 수평, 수직 사시를 특징으로 한다. == 병태 생리 == 외안근과 안와 결합 조직의 퇴행성 변화로 인해 외직근의 배(belly) 부분이 하내측으로 전위되어 나타난다. == 임상 소견 == 윗눈꺼풀 올림근 힘줄의 퇴행과 윗눈꺼풀판으로부터의 부착부 파열에 따라 퇴행성 눈꺼풀 처짐, 높은 윗눈꺼풀선 그리고 깊은 윗눈꺼풀 고랑을 보인다.<br />환자는 급하게 발생하거나 서서히 진행하는 양안 복시를 주소로 내원하는데, 사시의 각도는 작은 수직 편위(평균 10PD)를 보이면서 아래쪽으로 편위된 눈의 외회선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사시는 작은 내사시인데, <span style='color:blue;'>근거리보다 원거리에서 각이 크다</span>(평균 근거리 1.3PD, 원거리 11.5PD). 외안근의 운동은 상전을 제외하고는 모두 정상이다. == 감별 진단 == * 6번 뇌신경 마비 : 6번 뇌신경 마비에서는 외전 시 신속 운동의 속도가 느려지지만, 처진 눈 증후군에서는 수평 신속 운동의 속도가 정상이다.
처진 눈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처진 눈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