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클로르헥시딘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클로르헥시딘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은 널리 사용되는 소독제로, 그람 양성 및 음성 세균, 진균 등의 멸균에 효과적인 소독제로 안면부 수술 및 구강내 소독 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0.12%의 저농도가 주요 수술 전 멸균 소독제로서 주로 사용되고 있다<ref>박주예 등, 0.12%의 클로르헥시딘에 의한 단안 각막부종 1예, ''JKOS'' 2022;63(8):717-720.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3654 연결]</ref>. == 부작용 == === 각막 독성 === 이전 연구에서 4% 클로르헥시딘으로 인한 가역적 또는 비가역적 각막 상피 및 내피세포에 대한 독성이 보고된 바 있다. Hamed 등<ref>Hamed LM et al. Hibiclens keratitis. ''AJO''. 1987 Jul 15;104(1):50-6. [https://pubmed.ncbi.nlm.nih.gov/3605280/ 연결]</ref>은 4% 클로르헥시딘이 포함된 Hibiclens® (4% chlorhexidine gluconate + 4% isopropyl alcohol) 소독액이 토끼에서 각막 부종, 각막 내피세포 소실, 각막 혼탁, 각막 내피와 유착된 섬유소성막 (fibrinoid membrane) 을 유발했다 보고를 하였고, 이에 과거에는 이로 인한 각막염을 ‘Hibiclens keratitis’ 로 부르기도 하였다. Sawyer 등<ref>Sawyer WI et al. Corneal injury secondary to accidental Surgilube exposure. ''Arch Ophthalmol''. 2011 Sep;129(9):1229-30. [https://pubmed.ncbi.nlm.nih.gov/21911676/ 연결]</ref>은 안와 골절 또는 안검 성형술을 받은 환자들에서 4% 클로르헥시딘이 섞인 수술용 소독제인 Surgilube® (Fougera, Melville, NY, USA) 에 우연히 수술 중에 노출된 후 발생한 각막 상피 결손 및 각막 혼탁 증례를 보고하였다. Tabor 등<ref>Tabor E et al. Corneal damage due to eye contact w chlorhexidine gluconate. ''JAMA''. 1989 Jan 27;261(4):557-8. [https://pubmed.ncbi.nlm.nih.gov/2909794/ 연결]</ref>은 안면부 수술 중 농도가 명시되지 않은 클로르헥시딘 소독제의 각막 노출 후 각막 손상, 결막 충혈, 급격한 시력 저하를 호소했던 4명의 증례를 보고하였다. 한편, Gasset 등<ref>Gasset AR et al. Cytotoxicity of chlorhexidine. ''Can J Ophthalmol''. 1975 Jan;10(1):98-100. [https://pubmed.ncbi.nlm.nih.gov/1168090/ 연결]</ref>은 에탄올이 포함되지 않은 2% 클로르헥시딘 수용액을 2/d 토끼의 눈에 1주일 동안 점안했을 때 심각한 각막 손상을 일으키지 않았다고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는 기존의 Hibiclens 소독액 안에 에탄올 성분이 클로르헥시딘의 각막 독성을 증대시켰을 수 있음을 암시한다<ref>Bever GJ et al. Corneal Injury from Presurgical Chlorhexidine Skin Preparation. ''World Neurosurg''. 2016 Dec;96:610.e1-610.e4. [https://pubmed.ncbi.nlm.nih.gov/27647026/ 연결]</ref>. Lee 등<ref>이종영 등, 안와 골절 정복술 시 사용된 고농도 에탄올에 의한 각막 화상 1예, ''JKOS'' 2019;60(4):374-379.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9815 연결]</ref>은 안와 골절 정복술 시 사용된 2% 헥시타놀 용액 (2% 클로르헥시딘 + 72% 에탄올) 이 심각한 각막 손상, 시력 저하를 일으켜 치료적 레이저 각막 절제술까지 진행한 증례를 보고하기도 하였다. == 예방 == 치과 수술이나 안면부 수술 시에 클로르헥시딘을 소독제로 사용할 경우 눈에 들어가지 않도록 수술 준비 중 각별하게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또한 노출될 경우 즉시 세척해야 하고, 농도가 낮더라도 안구 접촉 시 비가역적 각막 독성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가시아메바 각막염 치료를 위해 0.02% 클로르헥시딘 안약을 제조할 때에는 농도 오류를 피하기 위해 특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겠다<ref>Kosrirukvongs P et al. Treatment of acanthamoeba keratitis with chlorhexidine. ''Ophthalmology''. 1999 Apr;106(4):798-802. [https://jkos.org/upload/pdf/jkos-2022-63-8-717.pdf 연결]</ref>. == 치료 == 항생제, 스테로이드, 고삼투압 점안제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클로르헥시딘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클로르헥시딘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