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편측 공간 무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편측 공간 무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편측 공간 무시 (hemispatial neglect)'''{{신경안과}} 는 병변 반대쪽 시야의 시자극을 인지하지 못하고 반응하지 않는 상태이다. == 편측 공간 소멸 == 편측 공간 소멸 (hemispatial extinction) 은 병변 반대쪽 시야에 따로 시자극을 줄 때는 반응하지만 병변 쪽 시야에 동시에 시자극을 주면 병변 반대쪽 시야의 편측 공간 무시가 나타나는 경우이다. 편측 공간 무시와 소멸이 별개의 질환인지 또는 소멸이 무시의 덜 심한 형태인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 병인 == 공간주의력은 등쪽 경로의 피질 및 피질하 영역의 복잡한 네트워크에서 담당하는데,상구,후두두정피질,시상베개/띠이랑cz’/상w/心 gyrws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 특히 PET 연구에서 후두정피질,전두 안구 영역 (frontal eye field),띠이랑이 주의를 전환할 때 활성화되는 영역임을 확인하여 이 영역이 공간주의력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13 이러한 영역에 병변이 생기면 병변 반대쪽으로 편측 공간 무시가 나타나며 주로 오른쪽 병변이 있을 때 왼쪽 공간 무시가 나타난다. == 기전 == * 대뇌 반구 경합설 (hemispheric rivalry) : 각 대뇌반구는 반대쪽 공간은 활성화하고 같은 쪽 공간은 억제한다. 정상적으로는 양쪽 대뇌반구가 균형을 이루고 있는데, 만약 한쪽 뇌에 이상이 생기면 정상적인 대뇌가 억제되지 않고 과활성화되어 균형이 깨져 나타난다는 것이다. * 오른쪽 대뇌 우세설 (right hemisphere dominance) : 오른쪽 대뇌는 양쪽 공간 에 대한 주의기능을 갖지만 왼쪽 대뇌는 주로 오른 쪽 공간에 대해서만 주의기능을 갖는다고 설명한 다. 그러므로 오른쪽 뇌의 병변에서는 왼쪽의 편측 공간무시가 나타나나 왼쪽 병변에서는 오른쪽 뇌가 그 기능을 유지하므로 무시가 나타나지 않는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편측 공간 무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편측 공간 무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