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후부 공막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후부 공막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후부 공막염 (posterior scleritis; )</b> 은 전부 공막염을 동반하지 않는 한 진단하게 어렵다. 제대로 진단되지 못하여 시력을 위협하는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가 빈번하다. == 역학 == 16~35% 정도가 양안을 침범한다. 29%만이 전신 질환과 연관되어 있는데, 이 환자들은 전부 공막염을 동반하는 경우가 더 흔하다. == 관련 질환 == 염증성 안와위 종양과 동반될 수 있으며, 이 두 질환은 임상 양상이나 방사선 소견이 비슷하다. == 증상 == 시력 저하, 통증, 복시를 호소하며 원시, 결막 부종, 안구 돌출, 눈꺼풀 부종이나 수축, 눈근육 마비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임상 소견 == 후부 소견으로는 시신경 부종, 시신경염, 장액성 또는 삼출성 망막 박리, 황반 부종, 맥락막 두꺼워짐 또는 주름 등이 관찰되며, 시력 저하가 흔히 나타난다. == 감별 진단 == * [[맥락막 흑색종]] * 림프종 * [[급성 후부 다발성 판모양 색소상피증]] * [[뱀모양 맥락막염]] == 비수술적 치료 == 아직 논란이 있으며, 경구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경구 스테로이드, 안내 스테로이드 주사, 경구 면역 억제제, 생물학적 치료제 들이 모두 사용되고 있다.
후부 공막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후부 공막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