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다발 골수종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다발 골수종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다발 골수종 (multiple myeloma, MM)''' 은 형질세포 (plasma cell) 의 역분화 (anaplasia) 와 이의 클론성 증식에 의한 혈액암이다. == 병인 == 이들 암세포 (골수종 세포) 는 특징적으로 단세포군 면역글로불린 (monoclonal immunoglobulin, M-protein; M단백) 을 생성하는 단세포군 감마글로불린병증 (monoclonal gammopathy) 세포로, 정상적인 면역글로불린의 생성은 현저하게 감소하여 환자는 세균감염에 취약해진다. 아울러 골수종세포는 다양한 기전을 통해 신체 기능장애를 유발하는데, 고칼슘혈증, 신기능 부전, 빈혈, 골용해 병변 등이 대표적이다<ref>Fung S et al. Ophthalmic manifestations of MM. ''Ophthalmologica''. 2005 Jan-Feb;219(1):43-8. [https://pubmed.ncbi.nlm.nih.gov/15627827/ 연결]</ref>. == 안과 합병증 == 크게 두 가지 기전에 의해서 합병증이 발생한다. * 과증식한 형질세포가 종양을 형성하거나 형질세포로부터 과분비된 항체의 이상 단백질 (paraprotein) 이 조직에 침착된다. * 혈액 내에 형질세포와 이상 단백질이 증가함으로써 혈액의 점도가 증가하는 것이다. 망막에서는 혈액의 점도가 증가함으로써 발생하는 과점도증후군 망막병증이나 [[망막 중심정맥 폐쇄]] 등이 나타날 수 있다<ref>Ferreira Santos da Cruz N et al. Hyperviscosity Retinopathy and Immunogammopathy Maculopahy as New Onset of MM. ''Case Rep Ophthalmol''. 2021 Jul 1;12(2):578-584. [https://pubmed.ncbi.nlm.nih.gov/34326757/ 연결]</ref>. 혈액의 점도 증가와 관련된 혈관병증과 이외에도 M단백의 경쇄 (light chain) 가 망막외층에 침착함으로써 망막하 공간의 삼투압 변화가 일어나 망막하액이 유입되는 증례들이 드물게 보고되었다. 이는 light chain deposition disease (LCDD) 의 한 형태이다<ref>Ronco P et al. Immunoglobulin light (heavy)-chain deposition disease : from molecular medicine to pathophysiology-driven therapy. ''Clin J Am Soc Nephrol''. 2006 Nov;1(6):1342-50. [https://pubmed.ncbi.nlm.nih.gov/17699367/ 연결]</ref>.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다발 골수종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다발 골수종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