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체외막 산소 공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체외막 산소 공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체외막 산소 공급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ECMO)''' 은 체내의 정맥혈을 펌프를 통해서 체외로 뽑아내어 산소막을 통과시켜 적절한 산소화를 시킨 후 이를 다시 환자의 정맥 혹은 동맥을 통하여 주입하는 생명유지 기계 장치로, 심폐부전 환자나 심정지의 소생 치료로 사용 영역이 확대되면서 점차 적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ref>Eckman PM et al. Veno-Arterial ECMO for Cardiogenic Shock : An Introduction for the Busy Clinician. ''Circulation''. 2019 Dec 10;140(24):2019-2037. [https://pubmed.ncbi.nlm.nih.gov/31815538/ 연결]</ref>. == 합병증 == 고식적 심폐소생술에 비해 심정지 환자의 생존율을 향상시키면서 그에 따른 합병증 발생 빈도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ref name=r2>Zangrillo A et al. A meta-analysis of complications and mortality of ECMO. ''Crit Care Resusc''. 2013 Sep;15(3):172-8. [https://pubmed.ncbi.nlm.nih.gov/23944202/ 연결]</ref>. ECMO 삽입 자체가 하지허혈, 출혈, 감염, 혈소판 감소증, 혈전증 등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고, 허혈성 뇌손상 등의 신경학적 문제, 급성 신손상, 허혈성 심근손상 및 폐부종 등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ref name=r2 />. === [[허혈 시신경병증]] (ION) === 시신경 혈류에 장애가 발생할 경우 [[허혈 시신경병증|ION]]이 발생하여 시력 소실 및 시야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ref>Wirth CD et al. Bilateral PION after severe diabetic ketoacidosis, CPR and respiratory failure. ''BMJ Case Rep''. 2013 Feb 14;2013:bcr2012008291. [https://pubmed.ncbi.nlm.nih.gov/23417383/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체외막 산소 공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체외막 산소 공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