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발살바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발살바 망막병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발살바 망막병증 (valsalva retinopathy) Duane은 1972년 <span style='color:blue;'>무거운 것을 들 때나, 기침, 구토, 혹은 힘을 주어 변을 보는 경우 등에 동반될 수 있는 망막 출혈</span>을 기술하기 위하여 발살바 출혈성 망막병증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사용하였다. == 역학 == 건강한 젊은 성인에서 관찰되기도 하며, 특히 무거운 것을 들어올릴 때, 화장실에서 힘을 줄 때, 자동차 에어백과 관련된 외상 시, 기침, 구토 혹은 과격한 성행위 등에 관련하여 발생한다. == 병태 생리 == 머리와 목의 정맥계는 판막이 아예 존재하지 않거나, 있더라도 거의 기능이 없기 때문에 성문(glottis)을 닫은 채로 복강 혹은 흉강내압을 갑자기 올리면(발살바 수기) 흉광 혹은 복강내압이 바로 머리와 목으로 전달된다. 갑작스런 정맥압 상승은 망막 모세혈관에 이상을 주어 내경계막하 출혈을 일으키며, 망막앞 혹은 유리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 임상 소견 == 전형적인 안저 소견으로 경계가 명확한 원형 혹은 아령 모양의 선홍색 출혈이 황반부 중심이나 부근의 내경계막 하에 발생한다. == 시술 및 레이저 치료 == 일부 예에서는 Nd:YAG 레이저로 후유리체막에 구멍을 내어 유리체강내로 혈액 배출을 시도하기도 한다. == 예후 및 합병증 == 수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출혈이 흡수되면서 시력은 정상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심한 황반앞 출혈의 경우 최종 시력이 좋지 않을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발살바 망막병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발살바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