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posterior chamber phakic intraocular lens)'''{{각막}} 는 ICL (implantable collamer lens) 라고도 한다. == 종류 == 1986년 Fyodorov가 실리콘 재질로 만든 후방 인공수정체를 소개했으나 초기에는 각막 접촉, 중심 이탈, 염증, 백내장 등의 합병증이 발생하였다. 재질과 모양이 개선되어 * Adatomed lens (Chiron-Adatomed) * Implantable Collamer lens (ICL, STAAR) * Phakic Refractive lens (PRL, CIBA) 등으로 발전하였다. == 종류 == 최근 개발된 모델은 Visian ICL로, 이 렌즈는 HEMA-collagen copolymer 재질로 된 일체형 접이식 렌즈이며 섬모체 고랑에 지지부가 위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Zaldivar 등<ref>Zaldivar R et al. Posterior chamber phakic IOL for myopia of -8 to -19 diopters. ''JRS''. 1998 May-Jun;14(3):294-305. [https://pubmed.ncbi.nlm.nih.gov/9641420/ 연결]</ref>의 보고에 의하면 뛰어난 굴절 교정 효과와 시력 호전이 나타났으며, 수술이 필요한 백내장 발생은 1% 미만이었다. ICL V4형을 사용하고 중장기 추적 관찰한 국내 연구 결과에서도 효과적이라고 보고된 바 있으며<ref>한상엽 등, 고도 근시 환자에서 안내 후방 콘택트렌즈 삽입술의 중장기간 임상 결과, ''JKOS'' 2007;48(4):465-472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085 연결]</ref>, 난시 교정용 후방 인공수정체를 이용한 국내 연구도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었다<ref name=r3>윤재문 등, 난시 교정용 후방 유수정체 안내렌즈 삽입술의 단기간 임상 성적, ''JKOS'' 2009;50(6):839-851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7466 연결]</ref>. {{외부사진 |https://www.wjm.co.kr/images/temp/thumb_prod_detail_01.jpg |EVO+ Aqua ICL }} == 장점 == 내피세포 손상의 위험이 낮고, 전방각과 관련된 합병증이 적으며, 염증 반응이 거의 없고, 소절개창을 사용하여 난시와 손상을 줄일 수 있다. == 단점 == 백내장 발생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다. == 합병증 == * 색소 확산, 전방각 색소 침착 : 생체 렌즈와 홍채 사이에 렌즈가 위치하기 때문에 발생하지만 이로 인한 녹내장의 발생 빈도는 높지 않다<ref>Kohnen T et al. Phakic IOLs : part 2 : results and complications. ''JCRS''. 2010 Dec;36(12):2168-94. [https://pubmed.ncbi.nlm.nih.gov/21111322/ 연결]</ref>. * 술 후 동공 차단으로 인한 안압 상승 : ICL V4c나 ECHO V2에는 방수 순환 구멍이 있어 이러한 합병증은 줄어들었다. 집도의에 따라 ICL V4c나 echo v2에서도 주변 홍채 절개술을 술 전이나 술 중에 하기도 한다 중 앙부 방수 순환 구명은 고위수차나 [[대비 감도]]에서 구멍이 없는 렌즈와 차이가 나지 않는다<ref>Shimizu K et al. Intraindividual comparison of visual performance after PC pIOL w and wo a central hole implantation for moderate to high myopia. ''AJO''. 2012 Sep;154(3):486-494.e1. [https://pubmed.ncbi.nlm.nih.gov/22818905/ 연결]</ref>. * 백내장 발생 : 슬중 수정체 외상, 방수 순환 장애로 인한 영양 물질 부족, [[혈액-방수 장벽]] 손상으로 인한 만성 염중 등이 가능한 원인일 것이다. 수술 중의 손상이 중요한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수술 습득도률 높여야 한다. 백내장 발생은 12년 경과 시 13.9%로 보고되고 있다<ref>Moya T et al. ICL for Myopia : Assessment 12y After Implantation. ''JRS''. 2015 Aug;31(8):548-56. [https://pubmed.ncbi.nlm.nih.gov/26248348/ 연결]</ref>. 백내장이 발생하더라도 진행하지 않고 안정적인 경우가 많고 시력이 감소되는 일은 많지 않다<ref>Sanders DR. Matched population comparison of the Visian ICL and standard LASIK for myopia of -3.0 to -7.88 D. ''JRS''. 2007 Jun;23(6):537-53. [https://pubmed.ncbi.nlm.nih.gov/17598571/ 연결]</ref>. * 내피세포 손상 : 렌즈의 위치가 각막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내피세포 손상의 위험은 상대적으로 낮고, 3~7년 경과 관찰 시 7.8~8.5% 내피세포 손실이 있다<ref>Edelhauser HF et al; ICL in Treatment of Myopia Study Group. Corneal endothelial assessment after ICL implantation. ''JCRS''. 2004 Mar;30(3):576-83. [https://pubmed.ncbi.nlm.nih.gov/15050252/ 연결]</ref><ref>Lee J et al. Long-term clinical results of PC pIOL implantation to correct myopia. ''Clin Exp Ophthalmol''. 2016 Aug;44(6):481-7. [https://pubmed.ncbi.nlm.nih.gov/26661832/ 연결]</ref>. 렌즈 직경이 크면 과다한 돌출로 [[색소 녹내장]]이나 [[폐쇄각 녹내장]]의 위험이 증가하며, 직경이 작으면 렌즈와 수정체의 접촉이나 렌즈의 회전이 발생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외부사진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후방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