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브루크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브루크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브루크막 (Bruch's membrane) 은 "어린이에서 2㎛의 두께를 가지고 있으나 <span style='color:blue;'>나이를 먹음에 따라서 두께가 증가</span>한다. 성인에서는 유두 주위는 두께가 2~4㎛이고, 주변부에서는 1~2㎛이다. 광학 현미경 검사에서는 호산성이고 PAS 염색에서 양성을 보인다. 그러나 전자 현미경 검사에서는 5개의 뚜렷한 층으로 구별할 수 있다. == 분류 == (가장 안쪽부터, 그러나 가장 안쪽은 망막 색소상피, 가장 바깥쪽은 맥락막 모세혈관의 일부이므로 브루크막은 실제로는 가운데 세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 망막 색소상피의 기저막 : 0.3㎛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 내측 교원질대 (inner collagenous zone) : 두께는 1.5㎛이고 뮤코다당류-단백질의 기저 물질에 있으며 느슨하게 배열되어 있고 600?의 주기성을 갖고 있는 교원질 원섬유로 구성되어 있다. 나이를 먹음에 따라 변성되고 갈라질 수 있다. - 탄성 섬유대 (elastic fiber zone) : 0.8㎛의 두께를 갖고 있으며 교원질 섬유들이 불규칙적으로 지나간다. 후극부에서 더 광범위하게 존재하며 주변부에서는 덜 연속적이다. - 외측 교원질대 (outer collagenous zone) : 두께가 0.7㎛로 더 얇다는 점 이외에는 내측 교원질대의 구조와 같다. - 맥락막 모세혈관 내피세포의 기저막 : 0.14㎛의 두께로 브루크막 중에서 가장 얇은 층이다. 실제로 모세혈관이 있는 곳에만 국한되어 존재하며, 모세혈관 사이의 공간 밑에는 존재하지 않는 불완전한 형태이다.
브루크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브루크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