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빛간섭 단층 혈관 조영술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망막}}{{녹내장}} 은 비침습적으로 망막과 맥락막의 혈관들을 보여주는 장비이다. == 원리 == 같은 부위에서 [[빛간섭 단층 촬영|OCT]] 촬영을 두 번 해서 적혈구와 같은 움직임는 입자를 찾아내어 이것을 신호로 전환함으로써 미세 혈관들을 찾아내는 것이다. == 질환별 소견 == === [[당뇨 망막병증]] (DR) === [[당뇨 망막병증|DR]]에서 나타날 수 있는 이학적 소견인 미세혈관류, 모세혈관 비관류 부위 증가<ref>Schottenhamml J et al. An Automatic, Intercapillary Area-Based Algorithm For Quantifying Diabetes-Related Capillary Dropout Using OCTA. ''Retina''. 2016 Dec;36 Suppl 1(Suppl 1):S93-S101. [https://pubmed.ncbi.nlm.nih.gov/28005667/ 연결]</ref>, 오목 무혈관 부위 (FAZ) 확장<ref>Lu Y et al. Evaluation of Automatically Quantified FAZ Metrics for Diagnosis of DR Using OCTA. ''IOVS''. 2018 May 1;59(6):2212-2221. [https://pubmed.ncbi.nlm.nih.gov/29715365/ 연결]</ref>, 신생혈관 등의 양상들을 확인할 수 있다<ref>Li X et al. Identifying Microvascular and Neural Parameters Related to the Severity of DR Using OCTA. ''IOVS''. 2020 May 11;61(5):39. [https://pubmed.ncbi.nlm.nih.gov/32441757/ 연결]</ref><ref>Hwang TS et al. OCTA Features of DR. ''Retina''. 2015 Nov;35(11):2371-6. [https://pubmed.ncbi.nlm.nih.gov/26308529/ 연결]</ref>.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 (IJT) === [[특발성 중심와부근 모세혈관 확장증|IJT]]의 경우, 중심와 근처의 표층, 심층의 망막 모세혈관총의 변화가 관찰될 수 있다. 이는 질병의 진행 정도에 따라 양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는 있지만, 초기에는 심층 모세혈관총에서 혈관이 확장된 소견이 나타나며, 더 진행하는 경우 표층에서도 혈관들이 확장되는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변화에 따라 FAZ의 경계가 왜곡되고, 불규칙해지는 양상이 보이며, 더 진행하여 황반부에 신생혈관이 생기는 경우 이를 확인할 수도 있다<ref>Spaide RF et al. Volume-Rendered Angiographic and Structural OCTA of MacTel Type 2. ''Retina''. 2017 Mar;37(3):424-435. [https://pubmed.ncbi.nlm.nih.gov/27749698/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빛간섭 단층 혈관조영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