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리파부틴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리파부틴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리파부틴 (rifabutin)'''{{망막}} 은 반합성 리파마이신 계열의 항생제로서 에이즈 환자에서 발생한 조형 결핵균 (mycobacterium avium) 감염의 치료와 예방에 사용된다<ref>Rifai A et al. Rifabutin-associated uveitis during prophylaxis for M.avium complex infection. ''Arch Ophthalmol''. 1995 Jun;113(6):707. [https://pubmed.ncbi.nlm.nih.gov/7786206/ 연결]</ref>. == 부작용 == === 포도막염 === 전신적인 조혈 결핵균의 치료를 위해 하루 450mg의 고용량으로 치료한 경우와 예방적 치료를 위한 하루 300mg 이하의 비교적 적은 용량 모두에서 포도막염이 유발되었으며 주로 양측성으로 나타나며 심할 경우 [[전방 축농]]이 발생될 수 있다. 약제의 사용 후 2주~14개월 사이에 포도막염의 발생이 보고되었으며 clarithromycin 또는 fluconazole 등의 약제를 동반 사용한 경우 적은 용량에서도 포도막염의 발생 빈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는 두 약제가 hepatic microsomal cytochrome P-450에 의한 약물의 대사를 방해함으로써 리파부틴의 농도를 높이기 때문이다. 리파부틴과 관련된 포도막염은 주로 전안부에 국한되지만 유리체염과 망막혈관염도 발생될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점안약을 사용하거나 약제의 복용량을 줄이거나 중단함으로써 포도막염을 호전시킬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리파부틴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리파부틴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