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laser trabeculotomy) 1986년 사체 안구와 적출 안구에서 40~50nsec의 노출 시간, 30mJ의 출력으로 Nd:YAG 레이저 섬유주절개술을 하고 광학 현미경 및 전자 현미경으로 조사한 결과 직경 100㎛의 크기로 쉴렘관과 연결이 되면서 주위 조직에는 다만 미세한 손상만이 보였다고 하며 [[원발 개방각 녹내장]]에 유용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 외 엑시머 레이저, CO_2 레이저 등이 사용된 바 있다. 현재 레이저 섬유주절개술은 거의 사용되고 있지 않다. == 효과 == 사람의 안구에서 실험적으로 전방각경을 이용하여 0.5~0.7mJ, 10˚ 또는 18˚의 convergence angle로 시술한 결과 10˚인 경우 3.0~3.5mJ, 18˚인 경우 4.0~6.0mJ에서 공막이 천공되는 일 없이 쉴렘관과 연결되었다고 하며, 보통 3~5mJ의 출력이면 50%에서 쉴렘관으로 연결된다고 보고되었다.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레이저 섬유주 절개술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