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골드만 압평 안압계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골드만 압평 안압계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골드만 압평 안압계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 안압계의 구조 == 이 안압계는 세극등에 부착하여 각막에 접촉시키는 이중 프리즘(biprism)의 중심부를 통해서 검사자가 직접 관찰하면서 안압을 측정한다. 이중 프리즘은 각막과 접촉하여 형성되는 원의 압평면을 두 개의 반원으로 전환시킨다. == 기본 개념 == 골드만은 안압계의 기본 개념으로 Impert-Fick 법칙을 수정하여 이용하였다. 이 법칙은 공(sphere)이 완전한 구형이고 두께가 무한대로 얇으며 건조하고 또한 완전한 유연성을 갖고 있을 때 공에 가해지는 외부의 힘(W)은 공 내부의 압력(Pt)에 외부의 힘에 의해 압평된 면적(A)을 곱한 것과 같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W=Pt×A 이다. == 검사 방법 == 우선 환자에게 검사 시 통증이 없다는 것과 검사의 목적을 설명한다. 다음 국소 마취제를 점안하고 [[플루레신]] 종이를 하안검 결막 표면의 눈물막에 접촉시킨다. 국소 마취제와 [[플루레신]] 물질이 섞여 있는 용액을 사용할 수도 있다. == 오차의 요인 == * 반원의 폭 : 폭이 넓으면 높게 측정되며 좁으면 낮게 측정된다. * 반원의 크기 : 크기가 서로 다르면 높게 측정된다. * 플루레신 물질의 농도 : 0.25%가 적당하다. * 눈을 수평축보다 15도 이상 높게 주시하거나, 눈을 너무 크게 뜨거나, 환자가 눈을 심하게 감으려고 하거나, 또는 검사자가 안구를 누르면 높게 측정된다. * 이중 프리즘을 각막에 오랫동안 접촉시키거나 또는 반복해서 안압을 측정하면 낮게 측정된다. * 각막의 두께 : 얇으면 낮게 측정되며, 아교질이 증가하여 두꺼워지면 높게 측정된다. 그러나 부종으로 두꺼워지면 낮게 측정된다. 남일 연구에서 측정한 우리나라 성인의 중심 각막 두께는 530.4±31.4㎛로 나타났다. Ehlers 등에 의하면 각막 두께가 520㎛ 기준으로 10㎛ 마다 0.7 mmHg 차이를 보인다고 하였으나 다른 보고에서는 10㎛ 마다 0.19 mmHg 라고 하였다. 따라서 중심 각막 두께에 따른 정확한 실제 안압은 아직 환산할 수 없다. 근시에서 PRK와 라식 등 굴절 교정을 시행하였을 때 각막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된다. * 각막 만곡도 : 매 3D 증가마다 안압이 약 1mmHg 정도 높게 측정된다. * 각막 난시 : 심한 경우에는 반원이 타원형으로 나타난다. 이중 프리즘을 수평으로 위치시키면 직난시에서는 실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고 도난시에서는 높게 측정된다. 이 때의 오차는 매 4D마다 약 1mmHg 정도이다. 이와 같은 경우 반원의 경계선이 타원의 주경선과 45도를 이루도록 회전시켜서 측정하거나, 반원의 경계선을 수평과 수직으로 하여 각각 측정한 안압을 평균하면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 각막의 표면 : 불규칙하면 반원을 일그러뜨려서 정확한 안압을 측정하기가 어렵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안과검사
(
원본 보기
)
틀:외부사진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골드만 압평 안압계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골드만 압평 안압계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