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눈물주머니 게실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눈물주머니 게실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눈물주머니]] 게실 (lacrimal sac diverticulum)'''{{성형안과}}은 [[눈물주머니]]와 연결된 낭성 구조물을 의미한다.1 == 역학 == 주로 눈물주머니와 코눈물관의 연결부나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에 가깝게 위치한다.2-5 == 원인 == 외상, 염증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나 눈물주머니의 외상이나 염증의 과거력이 없다면 선천적 원인을 의심해야 한다.1,7,8 == 임상 소견 == 대부분 증상이 없고 발견되지 않지만 눈물흘림, 분비물, 통증, 내측 안와 덩이나 반복적인 눈물주머니염과 같은 다양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고, 덩이는 발적이나 연조직염을 동반할 수 있다. == 진단 == 가장 유용한 영상검사는 [[눈물주머니 조영술]] (dacryocystography, DCG) 이며 눈물주머니의 외측 벽과 코눈물관의 연결부에서 주로 상방으로 돌출된 소견을 보인다.2,4,6 그러나 DCG의 민감도는 59%에 불과하고 CT, MRI, 초음파 검사의 진단적 가치는 눈물주머니 조영술보다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6 == 치료 == 증상이 있는 눈물주머니 게실은 보존적 치료가 실패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눈물주머니-코안 연결술 (dacryocystorhinostomy) 혹은 게실 절제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가 일반적으로 추천된다.4,6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성형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눈물주머니 게실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눈물주머니 게실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