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이글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이글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글 증후군 (Eagle's syndrome)'''은 [[경상 돌기]]의 비대로 인해 주변 구조물이 압박되어 나타나는 질환으로, 1937년 듀크 대학교의 Dr. W.W. Eagle이 처음으로 정의하였다<ref>Eagle WW. Elongated Styloid Processes : Report of 2 Cases. ''Arch Otolaryngol''. 1937;25(5):584–587. [https://jkos.org/journal/view.php?number=14039 연결]</ref>. == 역학 == 기저 해부학적 이상은 단측 또는 양측으로 존재할 수 있다. == 원인 == * [[경상 돌기]]의 비대 * 석회화된 경상설골 인대 (stylohyoid ligament) 또는 경상하악 인대 (stylomandibular ligament) * 첫 번째 경추의 가로 돌기 == 분류 == 압박되는 구조물에 따라 아래와 같이 나눈다. * 고전적 유형 : 제5, 7, 9, 10 뇌신경이 눌리면서 동측의 목의 통증, 연하 곤란, 연하통, 귀 통증, 두통, 이통, 이명 등이 나타날 수 있다. * 동맥 유형 : 내경동맥이나 외경동맥, 동맥주변 교감신경총이 눌리면서 일과성 허혈 발작이나 뇌졸중, 경동맥박리, 호너 증후군 등이 발생하며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거나 어지러움, 실신 등이 유발될 수 있다<ref>Westbrook AM et al. Eagle's syndrome, elongated styloid process and new evidence for pre-manipulative precautions for potential cervical arterial dysfunction. ''Musculoskelet Sci Pract''. 2020 Dec;50:102219. [https://pubmed.ncbi.nlm.nih.gov/32891576/ 연결]</ref><ref>Chuang WC et al. Reversible left hemispheric ischemia secondary to carotid compression in Eagle syndrome : surgical and CT angiographic correlation. ''AJNR Am J Neuroradiol''. 2007 Jan;28(1):143-5. [https://pubmed.ncbi.nlm.nih.gov/17213444/ 연결]</ref>. * 정맥 유형 : '경상돌기 경정맥 압박 증후군(SJVCS)' 이라고도 하며 내경정맥이 [[경상 돌기]]와 첫 번째 경추의 가로돌기 사이에서 압박되면서 정맥 유출 폐쇄와 두개내압 상승으로 인해 증상이 유발되는 경우를 말한다. 내경정맥을 압박하여 정맥 유출량이 감소하게 되며 흐름이 정체되면서 폐색이 발생하게 되면 정맥혈전을 유발하거나 혹은 혈전이 없는 상태에서 두개내압 상승을 유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두통, 박동성 이명, 목부위 통증, 시신경 유두부종 등이 나타날 수 있다.4,5 == 임상 소견 ==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이글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이글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