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로즈 벵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로즈 벵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로즈 벵갈 (rose bengal) " == 장점 == 형광 물질([[플루레신]])에 비해 잘 보이지 않지만, <span style='color:blue;'>결막에서는 오히려 더 잘 염색</span>된다. 죽은 상피세포 외에 <span style='color:blue;'>정상적인 점액으로 보호되지 않는 상피세포 또한 염색</span>한다. == 단점 == 염색 시 종종 <span style='color:blue;'>자극감</span>이 나타나고 반사 눈물을 증가시킨다. == 검사 방법 == 염색약이 묻은 검사지가 주로 사용되나, 1% 용액 형태로도 사용된다. 각막에 비해 <span style='color:blue;'>결막에 더 강하게 염색</span>되며, 특히 안구 결막이 가장 뚜렷하게 보이며, <span style='color:blue;'>red-free light</span>를 이용하면 더욱 잘 보인다. == 결과의 해석 == 염색 강도와 위치의 두 요소로 평가된다. Van Bijsterveld는 염색 위치에 따라 비측 결막, 이측 결막, 각막의 세 구역으로 나누고 염색 강도를 0에서 3점까지 분류하여, 최고 9점까지 평가 등급을 제시했다. <span style='color:blue;'>수성 눈물 부족에서 염색의 일반적 위치는 눈꺼풀틈새 결막 부위</span>로, 각막 윤부를 기저로 대칭되는 두 개의 삼각형 모양으로 염색된다.<br />염색 강도는 수성 눈물의 부족 정도, 눈물막 파괴시간으로 측정되는 눈물막 불안정성, 결막 술잔세포와 비술잔세포에서 생성되는 점액의 감소와 상관 관계가 있다. Pflugfelder의 연구에 따르면 쇼그렌성 수성 눈물부족 환자는 정상인이나 비쇼그렌성 수성 눈물부족, 마이봄선 질환 환자보다 훨씬 높은 van Bijsterveld 염색 점수를 나타낸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로즈 벵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로즈 벵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