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전낭하 백내장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전낭하 백내장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전낭하 백내장 (anterior subcapsular cataract; ASC)'''{{백내장}} 은 수정체 상피 아래 혼탁으로 급성 녹내장과 연관되며, 심한 안구 내부 압력 상승은 상피세포 괴사 병소가 나타나는 수정체 전낭 아래 회샛빛 혼탁을 형성한다. 전낭하 백내장에서는 섬유아세포와 같은 성상을 가지는 수정체 상피세포를 포함한 세포외 물질의 축적이 관찰되어지며, 다양한 세포외 물질은 콜라겐, 피브로넥틴, 피브릴과 수정체 상피세포를 활성화 시키는데 관여하는 다양한 성장인자들이다. == 원인 == 상피세포 변성은 외상성 상해로부터 파열이나 포도막염 치료를 위한 방사선 조사나 염증 등의 자극에 의해 나타난다. == 전낭하 플라크 == 수정체 상피세포 증식 및 변성 이후 발생한 혼탁이다. 보통 자극, 포도막염 또는 외상에 의한 파열의 결과이다. 조직학적으로는 앞쪽 혹은 적도 부위 수정체 상피 플라크가 섬유성 조직의 얇은 층으로 보인다 (섬유성 화생)<ref>Font RL et al. A LM and EM study of ASC. ''AJO''. 1974 Dec;78(6):972-84. [https://pubmed.ncbi.nlm.nih.gov/4140696/ 연결]</ref>. 이러한 플라크가 다층으로 쌓이면서 플라크 사이 층에 정상 피질이 놓이면 반복 백내장 (reduplication cataract) 이 생기게 된다. == 조직학 == ASC에는 세포외 기질이 축적되어 있는데,이 중에는 섬유아세포 모양을 가진 수정체 상피세포도 포함 되어 있다. 기질에는 아교질, 섬유 결합소, 피브릴린 등의 다양한 기질 성분과 여러 가지 성장인자가 있어서 수정체 상피세포에 신호를 전달하거나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ref>Ishida I et al. GF deposition in ASC. ''JCRS''. 2005 Jun;31(6):1219-25. [https://pubmed.ncbi.nlm.nih.gov/16039501/ 연결]</ref>.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백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전낭하 백내장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전낭하 백내장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