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지루 각화증 (결막)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지루 각화증 (결막)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결막의 '''지루 각화증 (seborrheic keratosis)'''{{각막}} 은 매우 드물게 생기는 양성 결막 종양으로, 결막 표면의 과각화성 병변이다. == 역학 == 고령층에서 주로 발생한다. == 위험 인자 == 노화, 자외선 노출, 인유두종 바이러스 (HPV) 의 감염, 임신이나 호르몬의 변화, 상피 성장인자, 가족력 등과 연관성이 많다<ref>Lever WF et al. Lever’s histopathology of the skin. 9th ed.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2005;809-12.</ref> </ref>. == 임상 소견 == 주위의 정상적인 부위와의 경계가 비교적 명확하며, 점막위의 표면은 거칠고 융기된 병변을 보이지만, 서서히 성장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ref>Fitzpatrick TB et al. Fitzpatrick’s dermatology in general medicine. 6th ed. New York : McGraw-Hill, 2003; 767-85</ref>. 눈 표면인 결막에서 발생하지만 통증은 없고 크기가 커질 경우에는 이물감을 주로 호소하게 된다. == 조직학 == 진단은 대부분 임상적 양상으로 진단하지만, 확진을 위해서는 조직 검사가 필요하다. 특징적인 조직 소견에서는 상각질 낭종 (keratin cyst), 쪽불낭 (horn cyst)<ref>Aydogan K et al. Irritated seborrhoeic keratosis presenting as a cutaneous horn. ''J Eur Acad Dermatol Venereol''. 2006 May;20(5):626-8. [https://pubmed.ncbi.nlm.nih.gov/16684308/ 연결]</ref>, 기저세포양 (basaloid cell), 색소 침착 (pigmentation), 염증 반응 등이 관찰된다<ref>Cascajo CD et al. Malignant neoplasms a/w seborrheic keratoses. An analysis of 54 cases. ''Am J Dermatopathol''. 1996 Jun;18(3):278-82. [https://pubmed.ncbi.nlm.nih.gov/8806962/ 연결]</ref><ref>LeBoit PE et al. WHO Classification of Tumours : Pathology and Genetics of Skin Tumours. Lyon : IARC Press, 2006;41-3.</ref>. 결막 종양 병변의 기원이나 병변의 진행 및 악성화를 알기 위해서는 p53, Ki-67<ref>Ohara M et al. Ki-67 labeling index as a marker of malignancy in ocular surface neoplasms. ''JJO''. 2004 Nov-Dec;48(6):524-9. [https://pubmed.ncbi.nlm.nih.gov/15592775/ 연결]</ref>, p16 지표를 이용한 면역조직 화학 염색이 요구되기도 한다<ref>Tseng SH et al. Seborrheic keratosis of conjunctiva simulating a malignant melanoma : an immunocytochemical study w impression cytology. ''Ophthalmology''. 1999 Aug;106(8):1516-20. [https://pubmed.ncbi.nlm.nih.gov/10442897/ 연결]</ref>. == 치료 == 일반적인 치료는 수술적 절제이며, 재발을 낮추기 위해서는 가능한 병변의 완전한 제거가 중요하다. 액화 질소를 이용한 냉동 응고술이나 국소적 약물 처치는 완전한 병변의 제거가 힘들고, 잔여 세포가 남아 있을 경우 적용이 가능하며, 외과적인 완전한 제거술에 비해 병변의 재발률이 다소 높다. 병변의 크기가 작고 제거가 용이한 형태이거나 병변이 국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기 소작법이 사용되기도 한다. 국소적인 요법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약제로는 * Retinoid 계열 * [[미토마이신 씨]] (MMC) * [[5-플루오로우라실]] * interferon alpha-2b 등이 있는데<ref>Sepulveda R et al. Topical chemotherapy for ocular surface squamous neoplasia : current status. ''BJO''. 2010 May;94(5):532-5. [https://pubmed.ncbi.nlm.nih.gov/19776089/ 연결]</ref>, 약제의 독성이 피부보다 결막에서 민감하기에 매우 제한적이고, 결막 지루 각화증의 발생 빈도가 낮아서 이에 관한 임상 연구는 매우 드물다. 특히, 재발이 자주 되거나 외과적인 수술로 병변의 완전한 절제가 힘들 때, 혹은 외과적 각결막의 과도한 조직 절제에 따른 각막 윤부의 기능 부전이나 눈 표면의 복원이 힘들 때 종양 병변의 재발과 악성화 이행률을 억제하기 위한 보조적인 치료로 점안 약물의 적용이 필요하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외부사진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지루 각화증 (결막)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지루 각화증 (결막)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