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안면 마비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안면 마비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안면 마비 (facial palsy) == 원인 == * [[특발성 안면 마비]] (Bell's palsy) * 종양 : 얼굴 마비가 서서히 진행하거나, 변동이 있거나, 얼굴의 운동 과다증과 동반될 경우는 그 원인이 종양일 가능성이 높다. 가장 흔한 종양은 8번 뇌신경에 발생하여 서서히 진행하는 청신경종이다. 청신경종은 주변 조직에 대한 압박으로 얼굴 신경에 영향을 주게 되는데, 종양의 크기가 작을수록 종양 절제 후 얼굴 신경 기능 회복의 예후가 더 좋다. * 기타 : Ramsey-Hunt 증후군, [[라임병]], 면역 기능 저하 환자, [[나병]], [[사르코이드증]], 세균 감염, 외상, 뇌혈관 질환 등 == 비수술적 치료 == 각막 노출이 발생하면 인공 눈물 성분의 안약이나 안연고를 자주 투여하여야 한다. 밤에 잠자기 직전 안연고를 눈에 넣은 후 주방용 랩 같은 얇은 비밀로 덮어주면 잠자는 동안 각막 노출을 예방할 수 있다. 밤에 <span style='color:blue;'>접착 테이프로 눈꺼풀을 붙이는 것은 잠자는 동안 눈꺼풀이 열리게 되면 접착 테이프라 각막을 문지를 수 있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 좋다</span>. 물안경이나 moist chamber도 도움이 된다. 내과적 치료 방법으로 치료할 수 없거나, 오래 지속될 것 같으면 수술적 처치가 필요하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안면 마비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안면 마비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