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암순응 검사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암순응 검사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암순응 검사 (dark adaptation test) == 검사 방법 == # 먼저 환자에게 검사법에 대해 설명한다. 완전한 암실에서 10분 동안 암순응을 시킨 후 장기간 검사를 위하여 편안한 높이로 의자를 조절하고 반대쪽 눈은 안대로 가린다. Goldmann-Weekers 암순응계 (adaptometer) 에 머리를 고정시키고 명순응용 스위치를 넣어 5분 동안 명순응면을 주시시킨 후 조명을 끄면 기록지가 회전을 시작하며 동시에 암순응 과정이 기록된다. 명순응면을 먼저 주시하는 것은 검사의 표준화를 위해서 아주 중요하며 암순응곡선을 두 개의 선으로 나타내어 굴곡점을 얻을 수 있게 만든다. # 환자가 빛을 느끼면 단추를 눌러 기록용 타점봉으로 타점하게 한다. # 그 다음 곧 빛을 느끼지 않을 때까지 어둡게 하여 같은 방법으로 다음의 시점에서의 빛을 느끼는 곳을 타점한다. #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 조작을 반복하여 30~40분 동안 측정을 계속하면 암순응 곡선이 만들어진다. # Kohlrausch 굴곡점 (cone-rod break) 을 잘 기록하기 위해서는 검사 개시 후 최초의 10분간을 30초 간격 정도로 세밀하게 기록한다. 그 후는 1~3분의 긴 간격으로 한다. [[오구치병]]처럼 검사 시간이 길어지는 것이 예상되는 경우에도 30분 후에는 10~20분마다 측정하다.
암순응 검사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암순응 검사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