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미숙아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미숙아 망막병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수정체뒤 섬유증식은 수정체 바로 뒷면에 섬유 혈관막이 있으며 이것이 망막을 견인하여 망막 박리를 일으킨 상태로 과거 직상 검안경으로만 안저 검사를 했을 때 사용하던 용어이다. 그러나 이것이 미숙사 망막병증의 일부, 즉 가장 심한 상태의 후유증이 남은 경우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 병의 초기 혈관 변화에서부터 심한 후유증까지 일련의 진행 양상을 알게 된 뒤로는 이를 통틀어 미숙아 망막병증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이라 부르게 되었다. == 미숙아의 정의 == 미숙아는 임신 나이 37주 미만에 태어난 신생아를 말하며, 출생 시 체중에 따라 2,500g 미만을 저출생체중아 (LBWI; low birth weight infant), 1,500g 미만을 극소 저출생체중아 (VLBWI; very low birth weight infant), 1,000g 미만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ELBWI;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라고 한다. 임신 나이 또는 재태 연령은 마지막 월경 시작한 날로부터 출생일까지를 말하며, 월경후 연령은 임신 나이에 출생 후 기간을 합산한 기간을 뜻한다. 예를 들어 임신 나이 26주에 출생한 아이가 출생 후 5주가 지났으면 월경후 연령은 31주이다. == 위험 인자 == 가장 직접적인 위험인자는 신생아의 출생 시 임산 나이(GA, gestational age)와 출생 체중이다. 1950년대 초 미숙아 망막병증과 산소 투여의 관련성이 처음 제기되었고 그 이후 여러 보고에서 산소 투여가 중요한 요인임이 알려졌으며, 과도한 산소 투여를 피하는 것이 좋다고 알려져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미숙아 망막병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미숙아 망막병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