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diabetic papillopathy)</b> == 역학 == 젊은 1형 당뇨 환자에서 갑작스럽게 한 눈 또는 두 눈의 시신경 유두 부종이 생기는데, 시신경병증에서 보이는 시야 이상이나 동공 이상이 보이지 않는 경우가 전형적이다. 나이 든 2형 당뇨 환자에서도 발생할 수 있다. 대부분 50세 이하에 발생하나 어느 연령대에서도 생길 수 있다. == 병인 == 아직 확실하지 않다. 포도당 대사 이상으로 시신경에 독성 손상이 일어난 것이거나 시신경 유두 내부 혈관의 손상으로 미세혈관 누출이 일어난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많은 연구자들은 이것이 [[비동맥염성 앞허혈 시신경병증|NAION]]의 경미한 형태일 것이라고 주장한다. 허혈에 의한 시신경 유두 부종이 기능 손상을 야기하지 않으면 당뇨 시신경 유두 병증, 비가역적 손상을 초래하면 NAION 으로 발현하게 된다는 것이다. == 진단 기준 == # 당뇨병 (1형 70%, 2형 30%) # 시신경 유두 부종 (한 눈 60%, 두 눈 40%) # 정상 기능 (경미한 RAPD, 경미한 전반적 감도 저하나 생리적 암점 확대는 가능하나 중심 암점이나 수평 시야 결손은 없어야 함) # 안염증, 뇌압 상승의 증거는 없음 == 임상 양상 == 증상이 없거나 약간 흐려 보이는 등 비특이적일 수 있다. 통증이나 다른 신경학적 이상은 없다. 시신경 유두는 충혈이 있거나 주변 혈관의 확장이 관찰된다. 창백한 부종은 AAION의 증거로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을 배제할 수 있는 소견이다. == 경과 == 치료하지 않아도 2~10개월이 지나면서 사라진다. 경미한 시신경 위축은 20% 정도에서 남는다. 질환 자체는 예후가 양호하지만, 이후에 망막병증이 악화되거나 신생 혈관이 발생하여 문제가 될 수 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당뇨 시신경 유두병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