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콩다래끼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콩다래끼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콩다래끼 (chalazion)</b> 는 [[마이봄샘]]의 입구기 막히면서 피지가 눈꺼풀판과 주위 연부 조직으로 분비되면서 급성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비감염성 염증 반응이다. == 증상 == 흔히 동통과 홍반을 동반한다. == 감별 진단 == 전형적이지 않거나 재발히여 악성 병변이 의심될 때는 반드시 조직벙리검사를 해야 한다. == 비수술적 치료 == * 더운 찜질 : 마이봄샘의 입구를 열어 피지 분비를 유도 * 눈꺼풀테를 면봉 등으로 잘 닦아준다. * 항생제나 소염제 안약 점안 : 콩다래끼를 완화시키는 효과는 크지 않다. * 경구용 doxycycline : 2차 세균 감염이 의심되거나 만성적으로 마이봄샘의 염증이 동반된 안구 딸기코의 경우 * 소량의 스테로이드 주사 : 피부의 탈색소 변화를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수술적 치료 == 만성적으로 낭종을 형성하면 절개하여 내용물을 긁어내야 한다.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뒤층판에 있을 때는 결막을 통해 눈꺼풀판에 수직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낭종의 벽을 포함해서 괴사성 물질을 완전히 제거한다. 병변이 눈꺼풀테나 눈물점 근처에 있을 때는 이런 구조물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특히 조심해야 한다. 드물게는 염증이 주로 눈꺼풀의 앞층판에만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 때는 피부와 눈둘레근에 수평 방향의 절개를 가하고 육아종 병변을 제거한다. {{참고|성형안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성형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콩다래끼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콩다래끼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