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마크롤라이드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마크롤라이드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마크롤라이드 (macrolide)</b> == 기전 == 당이 부차가는 macrocyclic lactone 고리를 가지고 있으며, 50-S 리보솜 소구조에 가역적으로 결합하여 세균의 단백질 합성을 억제한다. == 종류 == * 에리트로마이신 (erythromycin) : 그람 양성균 대부분과 일부 그람 음성균에 대한 항균 범위가 비교적 넓다. 약물의 농도, 미생물의 감수성, 생장 속도, 접종량에 따라 항균 혹은 정균 작용을 나타낸다. 폐렴 연쇄구균, 화농 연쇄구균 (<i>Streptococcus pyogenes</i>) 에 감수성이 높으며 간혹 내성을 보인다. 일반적으로 녹색 연쇄구균과 무산소성 연쇄구균에 대한 항균력이 좋다. 방선균, 노카르디아, 클라미디아 그리고 일부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에 대해서는 다양한 항균력을 가지고 있다. 황색 포도구균과 혈장 응고 효소 음성 포도구균은 감수성이 있으나 내성균의 발현이 증가하고 있다. 대부분의 임균 및 수막염균은 감수성이 있따. 인플루엔자균은 중등도의 감수성만을 보인다.{{br}}항생제에 대한 내성으로 인해 새로운 항생제로는 아지트로마이신 (azithromycin), 클라리트로마이신 (clarithromycin), 록시트로마이신 (roxithromycin) 등이 있는데, 보다 높은 조직 내 농도에 도달할 수 있으므로 <i>Chlamydia trachomatis</i>나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와 같은 안내 병원균의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새로운 약물들도 수용성이 낮고 각막 침투력이 제한적이어서 세균 각막염에는 제한적으로 사용된다. {{참고|각막}}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Br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마크롤라이드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마크롤라이드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