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콘택트렌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콘택트렌즈 (contact lens; CL) == 세계의 역사 == === 시초 === 1508년 이탈리아의 레오나르도 다 빈치 (Leonardo Da Vinci) 가 개념을 처음 발표하였다. 다빈치는 물이 가득 차 있는 우묵한 유리 그릇의 물 속에 얼굴을 담근 그림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물이 각막의 불규칙성을 중화시키며 우묵한 유리 그릇이 각막을 대신한다고 추정하였다. 1937년 프랑스의 데카르트 (Descartes) 는 물을 채운 가늘고 긴 유리 튜브를 각막 면에 대면 가시 거리가 길어진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는 나중에 망원경 디자인의 원리가 된 것으로 추정된다. === 1900년대 초 === 1912년 경 [[원추 각막]]에서 공막 덮개에 의한 연구가 다시 시작되었다. Carl Zeiss 회사가 틀을 만들어 선반 절삭법 (lathe-cut) 을 이용해서 렌즈를 만들었으며, 만곡도에 따른 21개의 진단용 렌즈를 제조하였다. Müller 사도 갈색 유리로 렌즈를 만들었는데, 착용감은 Müller 사의 것이, 시력 교정 면에서는 Zeiss 사의 렌즈가 더 우수하였다고 한다. === 1930년대 === == 한국의 역사 == === 1950년대 === 1957년 안과 의사인 공병우에 의하여 50대 환자의 단안 무수정체안에 시력 교정을 하기 위하여 국내 처음으로 콘택트렌즈가 사용되었다. 당시에는 미국 Wesley-Jessen 회사로부터 주문을 해서 사용하였는데, 운송 시간이 1개월 이상 걸리고 장착 시 어려움이 많아 재주문하는 경우가 거의 대부분으로 임상적 활용이 매우 힘들었다. 이런 불편함을 극복하면서 국내의 콘택트렌즈 분야가 발전을 하기 시작하였는데, 그 시조로 1958년 '한국 콘택트렌즈 연구소' 설립을 들 수 있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콘택트렌즈의 제조를 직접 담당하였으나, 당시에는 한 달 처방 수요가 3개 정도로 아주 미비하였다. === 2000년대 === * 2002년 3월 : 국내 최초로 허가 받은 각막 교정 렌즈인 'LK 렌즈'가 출시되었는데, 이 렌즈는 5개의 곡면으로 만들어져 피팅 과정이 쉽고 적은 수의 피팅 렌즈로 되어 있어 임상에 매우 유용하다. * 2014년 4월 : 돋보기 없이 시력이 교정되는 노안 전용 핀홀 콘탤트렌즈인 '노안핀홀'이 개발되었는데, 돋보기 착용을 꺼리고 다초점 안경에서 어지러움을 느끼면서 적용 못 하는 경우에 사용되며 외국까지 수출이 되고 있다. 2015년에는 미용 목적의 컬러 소프트렌즈에 대한 대체품으로 공막 렌즈에 색을 넣은 컬러 하드렌즈가 임상 적용을 앞두고 있는 등 국내 업체들의 콘택트렌즈 개박에 관한 활발한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 == 종류 == * [[소프트 콘택트렌즈]] (SCL) * [[하드 콘택트렌즈]] (HCL) * [[치료 콘택트렌즈]] {{참고|콘택트렌즈}}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틀:콘택트렌즈
(
원본 보기
)
콘택트렌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