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하드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하드 콘택트렌즈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하드 콘택트렌즈 (hard contact lens; HCL)''' == 재질 == 과거에 사용된 PMMA 재질의 렌즈와 1970년대에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한 Dk가 좋은 RGP 렌즈로 크게 나뉜다. * PMMA (polymethyl methacrylate) :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제작이 쉽고, 친수성이면서도 표면 전하가 없어 표면 습윤성이 우수하고, 침착물이 잘 달라붙지 않으며, 세척이 쉽고 오랫동안 사용이 가능하다는 여러 장점이 있다. 그러나 치명적인 단점으로 재질 자체가 산소 투과성이 없어 각막 산소 공급은 렌즈 아래 눈물층의 교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므로 가능한 렌즈를 작게 만들어야 했다. 산소 공급 부족에 의한 각막 저산소증, 각막 부종, 각막 미란, 각막 형태 변화 등이 잘 생겨 현재는 거의 사용하지 않고 있다. * [[산소 투과 콘택트렌즈|RGP]] {{참고|콘택트렌즈}}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하드 콘택트렌즈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하드 콘택트렌즈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