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청색광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청색광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청색광 (blue light)''' 은 짧은 파장 (380-530nm), 높은 에너지의 가시 광선으로 산화 스트레스를 발생시킨다. == 역학 == 최근에는 특히 전 연령층에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기기에 의한 노출이 증가하고 있다. == 병인 == 청색광에 의한 산화 스트레스는 RPE 세포와 광수용체 세포에 손상을 준다. RPE 손상은 bis-retinoid, N-retinylidene-N-retinylethanolamine (A2E) 등과 같은 지방 갈색소 (lipofuscin) 침착에 의해 유도되어 반응성 산소종 (reactive oxygen species, ROS) 의 발생을 일으킨다. ROS는 세포의 미토콘드리아나 리소좀 (lysosome) 의 손상을 주어 대사 물질의 배출 및 탐식과 같은 세포 제거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고13 caspase-3의 활성화에 의해 세포 자멸사를 유발하여 망막 조직의 손상을 일으킨다<ref>Sparrow JR et al. The lipofuscin fluorophore A2E mediates blue light-induced damage to RPE cells. IOVS. 2000 Jun;41(7):1981-9. [https://pubmed.ncbi.nlm.nih.gov/10845625/ 연결]</ref>. 광수용체 세포 또한 caspase-3와 로돕신 (rhodopsin) 에 의해 손상을 받게 되어 결국 시력 저하를 발생시킨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청색광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청색광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