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유렛 자발리아 증후군 (Urrets-Zavalia syndrome, UZS)'''{{각막}} == 병인 ==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가장 유력한 병인론 중 하나는 수술 후 일시적인 안압 상승 및 이로 인한 홍채의 허혈성 손상이 마비성 동공 산대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 역사 == 1963년 유렛-자발리아 는 [[전층 각막 이식]]을 시행한 6명의 원추 각막 환자에서 홍채 위축을 동반한 비가역적인 마비성 동공 산대와 이차 녹내장의 발생을 특징으로 하는 합병증을 보고하면서 유렛-자발리아 증후군으로 명명하였다. 이후 전체층 각막 이식, 데스메막 박리 내피 각막 이식 및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을 퐇마하여 유수정체 인공수정체 삽입술, 백내장 수술, 섬유주 절제술 같은 다양한 안내 수술 후에 마비성 동공 산대가 발생한 경우가 보고된 바 있다. 국내에서는 Park등4이 고도근시 환자에서 홍채 고정 안내렌즈 삽입술 후 1예, Ha 등15이 각막 화학 손상 2예와 격자 이상증 1예에서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 후 3예의 유렛-자발리아 증후군을 보고한 바 있으며, 최근 Kim 등9은 전층 각막 이식, 심부 앞층판 각막 이식, 백내장 수술 후 발생한 마비성 동공산대 15예를 특징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여 보고하였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유렛-자발리아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