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베르니케 뇌병증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베르니케 뇌병증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베르니케 뇌병증 (Wernicke's encephalopathy)'''{{신경안과}} 은 티아민 (thiamine; 비타민 B<sub>1</sub>) 결핍으로 인한 급성 신경학적 질환을 말한다. 임상 양상의 발현 정도가 다양하여 병원에서 진단되는 것보다 실제로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된다. == 위험 인자 == 만성 알코올 중독, 위 절제술, 장기간의 정맥내 영양, 임신 입덧, 신경성 식욕 부진, 만성 신부전 등이다. == 임상 소견 == 눈운동 마비, 운동 실조 (ataxia), 정신 혼란 (mental confusion) 의 삼징후가 특징이다. 눈운동 마비는 수평 주시 마비, 수직 주시 마비와 함게 양쪽 외전 장애를 다양하게 동반할 수 있다. 상향 눈떨림이 특징이다. 의식 상태 변화는 경미할 수 있어 간과되기 쉽다. == 영상학적 검사 == 뇌 MRI, 특히 T2 강조 영상, FLAIR 또는 조영 증강 T1 강조 영상에서 종종 이상 소견이 발견된다. 가장 전형적인 형태는 수도관 주위 영역 (periaqueductal area), 중간뇌 뒤판 (midbrain tegmentum), 유듀체 (mammillary body), 후내측 시상 (dorsomedial thalamus) 등에 나타나는 대칭적 병변이다. 이러한 MRI 상의 변화는 증상 발생 2주 이내 환자의 50~60%에서 관찰된다. 확산 강조 MRI가 이러한 변화를 탐지하는 데 보다 민감할 수 있으며 예후 예측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br /> 확진은 적혈구의 transketolase 활성도 측정으로 가능하지만 응급실에서 빠르게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이 단점이다. 만약 뇌 MRI에서 전형적인 병변이 관찰된다면 이는 특이적 소견이며 비전형적 증상의 환자에서도 빠른 진단이 가능하다. 하지만 뇌 MRI에서 이상 소견이 없다고 하여도 배제할 수 없다. 임상 양상의 다양성을 반드시 이해하여야 하며, 의심스러울 경우 확진하기 전에도 즉각적인 치료 시도가 필요하다. == 치료 == 급성기 치료는 티아민 (thiamine) 100mg 의 정맥 주사 또는 근육내 주사이다. 많은 경우 티아민 보충 후 수 시간 내에 임상적 증상과 징후가 호전되며, 수일 내로 영상의학적 변화도 소실된다. == 예후 == 심한 경우 생명을 위협할 수 있으며, 코르사코프 기억 상실 (Korsakoff amnesia) 과 같은 심각한 신경학적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만성 상태에서는 유두체 (mammillary body) 위축과 제3 뇌실 및 수도 (aqueduct) 확장이 지속되며 인지 장애와 운동 실조 또한 호전되지 않을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베르니케 뇌병증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베르니케 뇌병증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