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 (wAMD)'''{{망막}} == 병태생리== === 혈관신생 === === [[혈관내피 성장인자|VEGF]] === === [[혈소판 유래 성장인자|PDGF]] === == 조직병리 == 맥락막 신생혈관 (CNV) 은 브루크 막의 파열 부위를 통해 RPE층 하부 또는 위층으로 증식되어 자라면서 형성된다<ref>Green WR et al. AMD histopathologic studies. The 1992 Lorenz E. Zimmerman Lecture. ''Ophthalmology''. 1993 Oct;100(10):1519-35. [https://pubmed.ncbi.nlm.nih.gov/7692366/ 연결]</ref>. 혈관내피 성장인자 (VEGF)와 관련되어 발생하며<ref>Ambati J et al. AMD : etiology, pathogene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urv Ophthalmol''. 2003 May-Jun;48(3):257-93. [https://pubmed.ncbi.nlm.nih.gov/12745003/ 연결]</ref> 그 외 섬유모세포(fibroblast), 근섬유모세포(myofibroblast), 임파구 그리고 대식세포도 발견된다<ref>Killingsworth MC et al. Macrophages related to Bruch's membrane in AMD. ''Eye (Lond)''. 1990;4 (Pt 4):613-21. [https://pubmed.ncbi.nlm.nih.gov/2226993/ 연결]</ref>. 신생혈관이 브루크막을 뚫고 안쪽으로 나오게 되면 RPE와 브루크막 사이에서 측면으로 증식하게 된다. 이러한 초기 혈관 분지가 성숙하면서 점점 맥락막의 영양혈관의 몸통에서 갈라져 나오는 조직화된 혈관계로 발달하게 되고 섬유조직이 증식하게 된다. 신생혈관 분지에 존재하 는 내피세포는 장벽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감각신경망막, RPE층에서 단백질 및 지방삼출물 등의 누출이 발생하게 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결국에는 섬유혈관 상처가 발생하여 위쪽의 감각신경망막 조직을 파괴하고 심각한 시력 손상을 유발한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나이관련 황반변성/습성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