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UKPDS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UKPDS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UKPDS (United Kingdom Prospective Diabetes Study)'''{{망막}}<ref>Kohner EM. Microvascular disease : what does the UKPDS tell us about DR? ''Diabet Med''. 2008 Aug;25 Suppl 2:20-4. [https://pubmed.ncbi.nlm.nih.gov/18717974/ 연결]</ref> 는 영국의 23개 센터에서 새로 진단받은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여러 치료 방법으로 치료하였을 때 혈당 조절을 잘한 경우 당뇨 합병증의 발생을 늦출 수 있는지, 어느 특별한 치료 방법에 장점 혹은 단점이 있는지에 대한 해답을 얻기 위해 1977년부터 시작해 20년 동안 시행된 전향적 다기관 무작위 연구이다. == 연구 방법 == 새로 진단 받은 3,867명의 인슐린 비의존형 당뇨병 환자를 무작위로 두 치료순으로 나누었다. * 집중 치료군 (intensive treatment group) : Sulfonylurea 만으로 혹은 인슐린을 병합하여 공복 혈장 혈당 (fasting plasma glucose, FPG) 을 6 mmol/L 미만으로 조절하였다. * 보통 치료군 (conventional treatment group) : 식이만으로 FPG를 조절하여 15 mmol/L 미만으로 조절하며 그 이상이거나 고혈당 증상 발생 시 약을 사용하였다. == 결과 == 새로 진단된 인슐린 비의존 당뇨에서 DR이 남지 39%, 여자 35%에서 있었다. 10년 관찰 동안, 미세혈관 합병증이 집중 치료군 (평균 HbA1c 7.0%) 에서 기존 치료군(HbA1c 7.9%) 에 비해 25% 감소하였고, 레이저 광응고술의 필요성이 29% 감소하였다. 엄격하게 혈압을 조절한 군 (평균 144/82) 에서 그렇지 않은 군 (평균 154/87) 에 비해 시력 저하 및 당뇨 망막병증의 진행을 줄일 수 있었다. atenolol 사용군과 captopril 사용군에서 9년 관찰 시 2단계 이상 당뇨 망막병증이 나빠지는 비율은 비슷했다(37%, 31%). 2형 당뇨 진단 시 당뇨망막병증이 없던 1,216 명 중 진단 후 6 년째 22%에서 당뇨 망막병증이 발생하였다. HbA1c는 딩뇨 망막병증의 발생 특히 진행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당뇨망박병증의 발생은 신장병증의 발생과 밀접한 연관이 있었다. 하지만 흡연은 DR을 감소시키는 인자였다. == 결론 == 엄격한 혈당 및 혈압 관리는 당뇨에 의한 만성 합병증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UKPDS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UKPDS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