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CATT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CATT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Comparis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Treatment Trials (CATT)'''{{망막}}<ref>CATT Research Group, Martin DF et al. Ranibizumab and bevacizumab for wAMD. ''NEJM''. 2011 May 19;364(20):1897-908. [https://pubmed.ncbi.nlm.nih.gov/21526923/ 연결]</ref> == 목적 ==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의 치료에 많이 쓰이고 있는 [[라니비주맙]]과 [[베바시주맙]]의 효과와 안정성을 확인하고자 했다. == 설계 == 무작위, 다기관 임상 연구 == 대상 == 2008.02 ~ 2009.12 까지 wAMD로 인한 중심와밑 신생혈관 환자 1,208명을 대상으로 44개의 의료기관에서 진행하였고, 환자들은 다음과 같이 네 군 중 하나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 [[라니비주맙]] 0.5mg 매달 주사 # [[베바시주맙]] 1.25mg 매달 주사 # [[베바시주맙]] PRN (''pro en nata'') 주사 # [[라니비주맙]] PRN 주사 == 결과 == 1군은 2군과 동등한 효과를 보였으며 (+8.0 vs +8.5 글자수), 3군은 4군도 동등하였다 (+5.9 vs +6.8 글자수). 4군은 1군과 동등하였고, 2군과도 동등한 효과를 보였다. 그러나 3군은 1군 또는 2군과 동등한 효과를 보이는지 결론을 내지 못했다 (inconclusive) == 결론 == [[라니비주맙]]과 [[베바시주맙]]을 매달 주사 하였을 때 동등한 시력 호전을 보여준 대규모, 전향적인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비록 PRN 방식의 [[베바시주맙]] 주사 치료가 둘 중 한가지 약을 매달 주사한 것과는 어떠한지 결론을 내지 못하였지만 다른 모든 군에서는 유사한 효과를 보였다. [[베바시주맙]]군에서 전신적인 유해사례 발생률이 전반적으로 높았지만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 특히, 동정맥 혈전증의 발생률은 모든 군에서 매우 낮았고 두 약제의 차이는 없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CATT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CATT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