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HAWK and HARRIER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HAWK and HARRIER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HAWK (Efficacy and Safety of RTH258 vs Aflibercept : Study 1) and HARRIER (Study 2)'''{{망막}}<ref>Dugel PU et al; HAWK and HARRIER Study Investigators. HAWK and HARRIER : P3, Multicenter, Randomized, Double-Masked Trials of Brolucizumab for wAMD. ''Ophthalmology''. 2020 Jan;127(1):72-84. [https://pubmed.ncbi.nlm.nih.gov/30986442/ 연결]</ref> == 목적 == [[브롤루시주맙]]과 [[애플리버셉트]]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했다. == 설계 == 무작위, 이중 맹검, 다기관, active-controlled 연구 == 대상 == 1,817명의 치료받지 않은 활동성 [[맥락막 신생혈관]]을 가진 [[나이관련 황반변성]] 환자 # 첫 3개월간 매달 3mg [[브롤루시주맙]]을 주사 # 첫 3개월간 매달 6mg [[브롤루시주맙]]을 주사 # 첫 3개월간 매달 2mg [[애플리버셉트]]를 주사 3개월 이후에는 1, 2군은 12주 간격으로 주사하되 활동성 병변이 지속되는 경우 8주로 주사 간격을 줄였고 3군은 8주 간격으로 주사를 유지하였다. == 결과 == 48주 후 최대 교정 시력의 호전 정도는 세 군에서 모두 6~7글자수 상승을 보였으며, 3군과 비교하였을 때 효과가 유사하였다 (non-inferior). 고무적인 것은 2군 환자의 50% 이상이 48주의 연구 기간 동안 주사 간격을 12주로 유지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또한 16주째 활동성 병변의 비율이 2군에서 3군보다 현저하게 낮았다 (24 vs 34.5%). 치료 48주 후 중심 망막 두께의 감소 정도 역시 2군에서 3군보다 커서 해부학적으로도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전신적, 안과적인 유해 사례는 주사 종류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 결론 == 새롭게 도입된 [[브롤루시주맙]]은 2달 간격으로 주사하는 [[애플리버셉트]]보다 긴 3달 간격으로도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치료 결과를 보여 잦은 주사로 생기는 위험성과 빈번한 경과 관찰의 부담을 줄여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망막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HAWK and HARRIER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HAWK and HARRIER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