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섬모체-맥락막 삼출물 증후군 (ciliochoroidal effusion syndrome)'''{{녹내장}} == 병인<ref>Acute Myopic Shift and Change in ACD after Intake of Zonisamide, ''KJO'' 2020 [https://www.jkos.org/upload/pdf/jkos-2020-61-12-1538.pdf 연결]</ref> == 현재 설폰아마이드 계열 약물이 근시를 유발하는 기전은 아직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다. 2001년 Sen 등은 약물이 수정체의 삼투압 상태에 변화를 일으켜 수정체부종을 유발하고 이로 인해 폐쇄각 녹내장과 근시가 발생한다고 하였고, Bovino, Marcus는 항생제인 설파메톡사졸-트리메토프림을 복용한 환자에서 섬모체의 부종이 발생하며 섬모체소대의 이완을 유발하여 수정체의 표면곡률이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전방이 얕아지면서 근시가 발생한다고 설명하였다. Postel 등은 설폰아마이드에서 파생된 토피라메이트를 복용한 환자에서 초음파 생체 현미경을 통해 섬모체-맥락막 삼출물과 수정체-홍채 격막의 전방이동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전방이 얕아져 폐쇄각에 의한 안압 상승 및 근시를 확인하기도 하였다. Ikeda 등은은 이러한 기전을 통틀어 섬모체맥락막삼출물증후군이라 부르며 섬모체-맥락막 삼출물이 섬모체 종창을 유발하여 위와 같은 일련의 과정들이 동시에 발생하여 폐쇄각녹내장과 근시를 유발한다고 정리하였다. == 원인 == * 설파 제제 : [[토피라메이트]], [[펜터민]], hydrochlorothiazide, [[아세타졸라미드]], [[메타졸라미드]], sulfasalazine, zonisamide == 증상 == [[급성 폐쇄각 녹내장]]과 [[근시]]가 있다. 증상은 빠르면 당일, 늦어도 한 달 이내에 시작하였다. == 치료 == 약물 처방을 한 의료인과 상의 하에 바르게 중단하거나, 대체 약물을 찾아 투약을 변경하여야 한다. 폐쇄각으로 인해 녹내장이 발생한 경우에는 안압을 조절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 조절 마비제 : 섬모체근 이완을 유발시켜 섬모체 소대를 팽팽하게 하고 수정체 두께의 감소 및 수정체-홍채 격막의 후방 이동을 유발하여 전방 깊이를 증가시켜준다. * [[베타 차단제]], 안압을 낮추는 경구약 * 스테로이드 : 전방 염증이 발생하였을 경우, 스테로이드를 점안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다. {{참고}}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녹내장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섬모체-맥락막 삼출 증후군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