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이차 시신경 수막종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이차 시신경 수막종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이차 시신경 수막종 (secondary optic nerve sheath meningioma)'''{{신경안과}} 은 접형골이나 전두골의 뇌쪾에서 발생한 수막종이 시신경의 경막하강을 통해 안와내 또는 관내로 침범한 것이다. 안와에 발생한 수막종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주로 후각 고랑, 접형골 편평부 그리고 안장 결절에서 기원한다. == 치료 == 수술과 더불어 방사선 치료를 주로 사용한다. 뇌를 침범한 수막종의 경우 종양 절제술이 표준 치료법으로 수술의 목적은 가능한 한 침범된 경막과 두개골을 포함하여 종양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다. 종양의 완전 제거가 어렵거나 신경 손상의 위험이 큰 경우에는 일부 종양을 남기고 추가적인 방사선 치료를 시행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수막종은 성장이 느리기 때문에 크기가 작고 증상이 없는 경우에는 추적 관찰을 할 수도 있다. 또한 증상이 경한 고령이나 동반 질환을 수반한 환자에서도 수술적 치료 대신 정기 검진과 영상 검사를 선택할 수 있다. 뇌수막종으로 인한 뇌압 상ㅅ응이나 시신경 압박에 의해 시력 저하가 있는 경우 압박 시간이 얼마만큼 지속되었는지가 수술 후 시력 회복을 예측하는 데 중요하다. 수술 전 OCT에서 시신경 유두 주변 망막 신경 섬유층 두께가 정상이라면 좀 더 나은 시력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 {{참고}} [[분류:신경안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신경안과
(
원본 보기
)
틀:참고
(
원본 보기
)
이차 시신경 수막종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이차 시신경 수막종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