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주 메뉴
주 메뉴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둘러보기
대문
최근 바뀜
임의의 문서로
미디어위키 도움말
특수 문서 목록
여러분의 안과학 사전, 아이누리!
검색
검색
보이기
로그인
개인 도구
로그인
편두통 문서 원본 보기
문서
토론
한국어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도구
도구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동작
읽기
원본 보기
역사 보기
일반
여기를 가리키는 문서
가리키는 글의 최근 바뀜
문서 정보
보이기
사이드바로 이동
숨기기
←
편두통
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편두통 (migraine)</b> == 역학 == 30~45세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보다 여자에게서 흔하다. 사춘기 전에는 남자에게 많이 발생하나 사춘기가 지나면 여자에게서 많이 발생하는데, 초경 후에 증가하고 폐경 후부터 감소한다. 경제 사정이 좋은 집단에서 많이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지만 이는 이들이 의사를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 분류 == * [[조짐이 있는 편두통]] (migraine with aura) * 조짐이 없는 편두통 (migraine without aura) * [[안근 마비 편두통]] (ophthalmoplegic migraine) * [[망막 편두통]] (retinal migraine) == 약물 치료 == * 비스테로이드 계통의 항염 치료제 : 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 * serotonin 5-HT IB/ID 수용 촉진제 (triptan) : 혈관 작용 펩티드의 분비를 억제하며 혈관 수축과 뇌간에서의 동통 경로를 차단하여 편두통 발작을 멈춘다. * ergot, opioid == 예방 == 편두통의 발생 횟수가 너무 많거나, 이에 대한 약제의 반동 현상이 우려되거나, 치료제를 사용하여도 환자의 삶의 질이 저하되거나, 치료제의 금기에 해당하여 사용할 수 없을 때에는 예방적 치료를 고려한다. 예방 약제로 methysergide, propranolol, timolol, divalproex sodium 등을 사용한다. {{참고|신경안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참고
(
원본 보기
)
편두통
문서로 돌아갑니다.
검색
검색
편두통 문서 원본 보기
새 주제